3월 22일 서울 시내 한 영화관에 좌석간 거리두기 시행으로 전체 좌석 절반의 예매 가능 좌석 수가 표시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월 22일 서울 시내 한 영화관에 좌석간 거리두기 시행으로 전체 좌석 절반의 예매 가능 좌석 수가 표시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이하영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영화계가 직격탄을 맞은 가운데 영화인들이 정부의 긴급 대처를 호소하고 나섰다.

3일 영화계에 따르면 코로나19로 한국 영화 산업은 고사 직전에 내몰렸다. 현장 종사자들은 영화발전기금(영발기) 용도를 변경한 긴급지원과 특별지원업종 지정을 통한 산업 지속 불안감 해소가 선결과제라고 입을 모은다.

영발기는 영화 티켓값에서 3% 적립으로 마련한 기금이다. 세금 이외 영화 수입에서 제하는 비용으로 영화인들이 관련 산업을 위해 모아온 종잣돈으로 볼 수 있다. 2020년 3월말 기준 영발기 잔액은 2623억원이다.

앞서 잇따른 영화계 호소에 정부가 1일 영발기를 기반으로 한 영화계 지원책을 내놨다.

반면 다음날인 2일 영화감독을 비롯해 제작사‧마케팅사‧극장사 등 20여개 단체가 모여 만든 코로나19대책영화인연대회의(연대회)가 정부안을 조목조목 비판한 성명을 발표했다. 정부가 발표한 지원책이 영화계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는 이유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매진된 CGV 한 상영관. [사진=이지혜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로 매진된 CGV 한 상영관. [사진=이지혜 기자]

연대회는 성명을 통해 “올 3월 극장 관객수가 전년대비 90%나 급감했다”며 “영화산업 붕괴는 이미 초읽기에 들어갔는데 여전히 정부는 기다리라고만 한다”고 답답한 심경을 내비쳤다.

연대회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다른 분야처럼 영화관련산업을 특별지원업종으로 즉각 지정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는 고용유지지원금뿐 아니라 영화산업 내 대출 연장이나 금융지원 등을 안정적으로 이뤄지도록 해 불확실성을 해소하자는 취지다.

이외에도 연대회(화살표 이하)는 △영화발전기금 올 2월부터 소급해 한시 감면→ 완전감면 △상반기 개봉 연기‧취소작 마케팅 지원(20여편)→ 고용 유지 인건비 직접지원 △촬영‧제작 중단된 한국영화 제작지원금 지원(20여편)→ 모태펀드로 제작 투자 △단기 실업 상태 현장영화인 대상 직업훈련수당 지원(400명)→ 최저임금기반 생계비 지급 등을 요구했다.

단기적이고 한시적인 투자에서 벗어나 정부가 기금 및 예산을 투자하는 모태펀드 등에 참여해 ‘영화산업을 도울 것’이라는 확실한 시그널을 달라는 의미다.

기자회견에서 영화 스태프 사진이 담긴 휴대전화를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기자회견에서 영화 스태프 사진이 담긴 휴대전화를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도 할 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영발기 감면 및 대대적인 기금 출현을 위해서는 영화 및 비디오물의 증진에 관한 법률(영비법)을 바꿔야 하는데 여기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실제 문체부 관계자는 “1일 코로나19 관련 영화계 지원방안이 나온 것은 문체부에서 예산을 올렸기 때문”이라며 “날짜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기재부에 4월 중순 전에 금액확정을 요청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정부 대처에 영화계는 그 몇주 뒤에는 이미 수많은 영화산업 관계 기업이 고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정화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대표는 “미증유 사태로 인한 영화계 불안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속도가 생명”이라며 “정부가 하루빨리 영화산업을 특별지원업종으로 지정해 안정적인 금융‧투자 환경을 조성하고, 영화발전기금 긴급수혈로 영화계가 코로나19 이후 동력을 잃는 사태만은 막았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