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로 확산하고 있다. 하늘길이 막히면서 항공업황이 급속도로 나빠지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이뉴스투데이 윤진웅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등의 여파로 국적항공사들이 그로기 상태다. 급여 반납과 휴직 등 자구책을 써보지만, 손실을 메꾸기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코로나19 장기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1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이날부터 3개월간 근무하는 외국인 조종사 전원(390명)에게 무급휴가를 실시한다. 특정 부문 근로자 전원을 대상으로 무급휴가를 실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코로나19로 부진해진 경영실적을 메우기 위한 고강도 자구책으로 해석된다. 앞서 대한항공은 지난달 2년 차 이상 객실 승무원을 대상으로 단기 희망휴직 신청을 받은 데 이어 2년 차 이하 객실승무원까지 대상을 확대했다. 

여기에 미국 여러 주가 여행객에 대해 자가격리 방침을 도입하면서 수요는 더 쪼그라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인천과 미국 워싱턴DC를 오가는 항공편 운항도 잠정 중단할 계획이다. 오는 12일까지 주 3회 정상 운항 이후 13일부터 다음 달 31일까지 중단된다.

대한항공 직원들 사이에선 전 직원 대상 급여삭감과 순환휴직 등으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국적항공사 중 기반이 가장 튼튼한 것으로 알려진 대한항공까지 휘청면서 동시에 다른 항공사들의 걱정도 커진다.


◇ 월급 50% 깎여도…"이거라도 받아서 다행"


아시아나항공은 이날부터 모든 직원이 돌아가며 15일 이상 무급 휴직에 돌입한다. 월 급여가 50% 낮아지면서 생계가 걱정되지만, 이마저도 다행이라는 목소리가 들린다. 아시아나항공 임원들은 급여 반납 비율을 기존 50%에서 60%로 높이기로 했다.

이스타항공은 지난달 30일 1~2년 차 수습 부기장 80여명에게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이들에겐 회사 사정이 나아지면 우선 고용하겠다고 안내했다. 통상 수습 부기장은 큰 결격 사유가 없는 이상 훈련을 마친 뒤 정규직으로 전환해 왔지만, 회사 사정이 받쳐주지 못했다.

앞서 이스타항공은 지난 2월 직원들의 급여 60%를 지급하지 못했고, 지난달 급여 전체를 미지급했다. 아울러, 올해 항공기를 23대에서 13대로 줄이는 등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제주항공은 전 직원 대상 유급휴직을 시행하고 경영진은 급여의 30%를 반납하고 있다.

티웨이항공은 근무일을 주 4일로 단축하고 희망자를 대상으로 유급휴직을 시행하고 있다. 직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무급휴직은 배제했다. 인턴 승무원 역시 모두 정직원으로 채용했다.

진에어 객실 승무원은 지난달부터 순환 휴직에 들어갔다. 불행 중 다행으로 국토교통부가 20개월 만에 제재를 해제했지만, 항공업황이 워낙 좋지 않아 신규 노선 취항 등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에어서울·에어부산은 대표이사를 포함한 모든 임원이 사직서를 내고 급여를 일부 반납하고 있다. 에어부산은 전 직원이 40일간 유급휴직, 에어서울은 직원의 90%가 무급휴직 중이다.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고강도 자구책으로 마른 수건을 쥐어짜는 상황이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할 경우 인력 구조조정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산업은행 LCC항공사에 긴급수혈…"코로나19 극복 후 부작용도"


상황이 이렇게 되자 산업은행은 지난달 31일 LCC항공사에 700억원을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무담보 조건으로 제주항공에 400억원, 진에어에 300억원의 운영자금을 각각 지원한다.

현재까지 산은이 LCC에 금융 지원을 한 금액은 1260억원으로 앞서 티웨이항공에 60억원, 에어서울과 에어부산에는 아시아나항공 등을 통해 각각 200억원, 300억원을 지원했다.

산은은 또 다음 달 중 아시아나항공을 통해 에어부산에 최대 280억원을 지원하고, 티웨이항공도 추가 지원할 예정이다.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자금과 관련해선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심사가 끝나는 4월에 다른 은행들과 함께 1500억∼20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익명을 요구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지원금을 받아 위기를 극복하는 데 힘을 써야 하는 시기지만, 부채 상환 등 경영정상화를 위해 수익성 높이기만 집중해 고객 서비스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면서 "코로나19 이후 또 다른 재난이 닥칠 경우도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