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오후 프로농구 삼성 대 KT 경기가 열리는 서울 송파구 잠실실내체육관 입구에서 직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 입장객을 상대로 발열검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29일 오후 프로농구 삼성 대 KT 경기가 열리는 서울 송파구 잠실실내체육관 입구에서 직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전염을 예방하기 위해 입장객을 상대로 발열검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고선호 기자] 전 세계를 강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쇼크에 한국 사회가 이기심에서 비롯된 비도덕적 행위들로 때 아닌 진통을 겪고 있다.

중국 후베이성의 우한 지역이 신종 감염병의 발원지로 지목되면서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무차별적인 인종차별 행위를 비롯해 마스크의 폭발적 수요를 악용한 매점매석까지 등장하면서 그동안 수면 밑으로 감춰져 있던 각종 병폐가 여실히 드러났다.

2일 한국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국내 ‘우한 폐렴’ 관련 키워드가 6만5000여 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첫 확진자 발생일인 같은 달 19일 이후 일주일 만에 도달한 수치다.

이 같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이와 관련된 가짜정보도 넘쳐나고 있다.

각종 허위정보들은 재난상황을 악용한 것으로, ‘코로나’·‘우한 폐렴’ 등 관련 키워드가 포함된 광고성 스펨 메시지만 1월 중 3000여 건 이상 확인됐다.

특히 우한 폐렴의 발원지로 지목된 중국을 대상으로 한 무분별한 허위정보도 급증했다.

'중국산 김치' 등 중국에서 들어온 음식을 먹으면 감염이 될 수 있다는 허위정보를 시작으로 감염병 치료를 위해 중국이 자국민들의 한국 입국을 독려하고 있다는 소문까지 다양한 유언비어가 온라인을 통해 확산 중이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국내 확진자를 대상으로 한 ‘신상정보 털기’는 물론 관련 정보를 거짓으로 꾸며 유포하는 등의 행위까지 일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허위정보들은 개인 간 공유로 그치지 않고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를 비롯해 SNS를 통해 무분별하게 전파되면서 중국인을 향한 인종차별 행위로까지 번지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의 한 음식점 입구에 중국인 출입금지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음식점 입구에 중국인 출입금지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실제 서울 시내 한 음식점에서는 출입문에 ‘중국인 출입금지’ 안내문을 게시한 사실이 인터넷을 통해 알려졌으며, 홍대 주점가에서는 중국인을 상대로 한 폭력사건까지 발생했다.

지난달 23일에는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중국인 입국 금지 요청' 청원 올라왔고 31일 기준 총 60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었다.

이와 함께 감염병에 대한 공포로 마스크 수요가 급증하자 이를 악용한 매점매석 행위도 성행하고 있다.

마스크 가격은 국내 세 번째 우한 폐렴 확진자가 나온 지난달 26일 이후부터 요동치기 시작했다.

오픈마켓에서 판매되고 있는 마스크 가격은 27일에서 29일 이틀간 △KF94 마스크 30장, 2만8900원→7만900원(장당 963원→2633원) △KF94 마스크 20장, 2만9000원→5만2000원(장당 1450원→2600원) △KF94 마스크 20장, 1만6990원→6만3750원(장당 1450원→3187원) 등으로 폭등했다.

이에 정부는 매점매석 행위 금지 고시를 이달 초까지 제정키로 했다.

적용대상 사업자 및 품목을 식품의약약품안전처가 마련할 예정이며, 위반 시에는 시정 또는 중지 명령과 함께 2년 이하의 징역 혹은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또 공정거래위원회는 마스크 가격 인상 담합 등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감시를 강화한다. 위반 시 과징금과 함께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억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

31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거리에서 외국인 관광객이 구입한 마스크를 들고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1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거리에서 외국인 관광객이 구입한 마스크를 들고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는 마스크값 안정을 위해 지방자치단체별로 마스크 등 관련 품목에 대한 가격 및 수급 상황을 점검한다. 또 마스크·손 세정제 제조업체에 물량공급 확대를 요청하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우려가 종식될 때까지 국민안전 확보와 경제적 영향 최소화를 위해 모든 정책적 역량을 총동원하여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