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 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해 12월 24일 전체회의에서 '월성 1호기 영구정지'를 결정했다. [사진=한국수력원자력]
경북 경주시 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해 12월 24일 전체회의에서 '월성 1호기 영구정지'를 결정했다.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이뉴스투데이 유준상 기자] 원전 중소기업들의 협력 연구개발을 통해 생산된 국산 기자재가 해외시장에 진출한 첫 사례가 나왔다. 하지만 해당 기자재가 영구폐쇄 결정이 내려진 월성 원전 1호기에 사용된 품목으로 알려지면서 전망을 낙관하기에는 금물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 26일 진행된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원전 노내핵계측 증폭기 및 전자파간섭(EMI) 필터 공급’ 국제공개경쟁 입찰에서 최종 공급사로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루마니아 원자력공사(SNN)가 발주한 이 사업은 예가로 약 10억원 규모다.

루마니아 동부 지역에 위치한 체르나보다 원전은 우리나라의 월성원전과 동일한 중수로형 원전이다. 이번에 수주에 성공한 노내핵계측 증폭기와 전자파간섭(EMI) 필터는 월성 1~4호기에서 이미 사용됐던 제품이다.

한수원은 이번 수주를 통해 기대하는 바가 크다. 한수원 관계자는 “해당 품목은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해 향후 지속적으로 공급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또한 삼중수소 제거설비, 방폐물저장조 건설 등 한수원이 루마니아에 참여를 준비하고 있는 사업자 선정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하지만 한국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그 여파로 내려진 월성1호기 영구정지 결정이 이같은 장밋빛 전망을 예단하지 못하게 만드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따른다.

한 에너지 전문가는 “월성1호기 폐쇄조치는 수주계약을 맺은 제품이 정작 수출국에서 더 이상 생산‧이용되지 않는다는 신호를 주게 될 것”이라며 “또한 일회성 수주는 성공했더라도 한국의 탈원전은 지속적인 관리와 서비스, 후속 수주로 이어지는데 결정적인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은 탈원전을 추진하면서도 해외 원전수주를 병행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9월 ‘원전수출전략협의회’에서 발표한 ‘원전 전(全)주기 수출 활성화 방안’에서 수출전략을 원전 전주기로 확대하고, 중소·중견기업의 수출역량 제고를 통해 글로벌 수출산업화를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한수원도 국내 중소기업의 수요발굴과 기술개발, 해외수출까지 책임지는 등 판로지원에 적극 나서겠다고 했다.

하지만 다수 에너지 전문가는 해외 원전 수주에 성공하더라도 제작을 위해서는 국내 산업 생태계가 유지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원전 사업의 특성이 다품종, 소량생산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다수의 중소기업 참여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중소기업의 이탈이나 도산을 막기 위해서 국내 신규 원전 건설을 통한 산업 생태계 유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