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훈 한국원자력산업회의 회장이 원자력미래포럼 종합세미나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한국원자력산업회의]
정재훈 한국원자력산업회의 회장이 원자력미래포럼 종합세미나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한국원자력산업회의]

[이뉴스투데이 유준상 기자] “지금까지 발전사업 위주로 이용되던 원자력이 앞으론 다른 영역과 융복합을 통해 국민에게 서빙할 수 있는 산업으로 거듭나길 기대한다.”

정재훈 한국원자력산업회의 회장(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27일 인터컨티넨탈 코엑스 다이아몬드홀에서 개최된 ‘원자력미래포럼’ 종합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발전용 원전을 중심으로 운용되던 한수원이 최근 급격한 대내외적 환경의 변화를 맞이하며 궤도 수정에 힘을 쏟고 있다. 정부 에너지 전환 정책으로 신고리 5‧6호기 준공되는 2024년 6월이 되면 원전 신규 수주는 없고, 향후 10년 내 원전 10기를 단계적으로 감축해야 하는 상황이다.

정재훈 회장은 “한수원의 원자력 R&D 예산을 4800억원 수준으로 유지해 기초원천기술 개발에 투자할 것”이라며 “이를 토대로 원자력과 방사선 분야의 미래 세대, 산학연 관계자들과 협업해 기존 분야 이외 우주, 해양 등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수원은 이같은 변화의 흐름 속에서 최근 조직 및 인사 개편도 감행했다. 상생협력처가 확대 개편이 됐고, 본사 인력을 20% 감축해 발전소 안전 운영과 정비를 위해 사업소로 내려보내기도 했다.

전영태 한수원 상생협력처장은 “에너지 전환 정책으로 한수원이 사면초가에 몰렸다고 생각될 수도 있다”며 “대내외적 환경 변화가 큰 것은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존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전개해가며 대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수원은 국내 원전 협력기업 자생력 강화를 위해 신규 유자격 공급자 발굴을 확대하기도 했다. 원전 건설 보조기기를 납품하는 회사가 순 감소 추세에 있는 실태를 고려한 조치다. 현재 시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한수원 계열 유자격 공급자는 약 500곳 규모다. 이중 국내 업체가 300곳, 해외 업체가 200곳이다. 한수원은 매년 약 200억원을 이들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

전영태 처장은 “중소기업 중에 단독으로 해외 수출을 해본 곳이 10군데 수준으로 수출 부분이 아주 취약하다”며 “한수원과 함께 패키지딜을 구성하는 방법 또는 단독으로 진출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지원 제도로 뒷받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수원은 1년에 시장개척단을 통해 해외 진출하는 횟수 4회, 한수원이 팀코리아 부스를 만들어 해외 전시회에 참여하는 횟수 6회 등 협력업체들에 거의 매달 한 번꼴로 해외시장에 진출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비용의 90% 이상을 한수원이 부담한다. 금융지원으로는 중소기업에만 3000억원 규모 기금이 지급되고, 이중 1400억원 규모로 경주 지역 기업 대상 예치 이자 이율 감면 혜택을 주고 있다.

김현준 한국원자력학회 고급정책연구소장은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으로 원자력 산업계는 산업 생태계 전환을 요구받고 있다”며 “이 시기 산업 생태계의 일감과 인력을 유지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원전 수출이 원자력 산업 생태계를 유지하는데 굉장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그런데 원전 산업체의 기술력이 유지가 되지 않으면 수출이 어렵다. 원전의 안전과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단기적으로 일감을 만들고 체계적으로 기술 역량을 확보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심형진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원자력은 수소 경제의 중심에서 수소 생산 에너지원으로, 심우주 탐험 중심에서 우주선의 엔진으로, 극지 개발 중심에서 전력원으로, 핵융합 발전소의 구현으로 원자핵공학은 인류 공헌을 위한 발전을 거듭해나갈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의 에너지 전환 논쟁이 공학에 대한 이해와 함께 과학기술 전반에 대한 사회적 담론으로 이어져 공학도들이 자부심을 가지고 국가 산업 발전을 위한 개술개발에 매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원자력미래포럼은 한국원자력산업회의와 한국원자력학회가 공동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후원했다. 이 자리에는 에너지경제연구원, 두산중공업 등 정부와 산학연 관계자 280여 명이 참석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