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윤진웅 기자] '하인리히 법칙'. 대형사고가 발생하기 전 경미한 사고와 징후들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힌 법칙이다. 노동현장에서의 재해뿐만 아니라 각종 사고나 재난, 더 나아가 사회적·경제적·개인적 위기나 실패에도 적용된다.

제주항공을 지켜보는 기자의 마음 한편에 '불안'이 자리한 이유다. 제주항공은 불과 한 달 동안 △보잉747NG 이슈 △긴급 회항 △급정지 등 문제가 연이어 발생했다. 단순한 에피소드로 넘기기엔 모두 안전과 직결된 사안이라 찝찝한 기분을 지우기 힘들다.

실적 하락도 불안을 키우는 요소다. 제주항공은 지난 2분기 영업손실 274억원으로 5년 만에 적자 전환했으며, 3분기 전망도 밝지 않은 상황이다. 언뜻 안전과는 별개로 여겨질 수 있지만, 실적 하락으로 인한 비용 절감 등으로 안전이 위협받을 가능성이 크다.

이를테면 이륙 전 '사소한 문제'쯤은 가볍게 넘어갈 수 있다. 결항으로 인한 손해가 막심하기 때문이다. 이번 긴급회황도 이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추측이 나온다. 또한, 정비인력 보충 요구도 수용하기 어렵다. 인건비 등 문제와 부딪히기 때문이다.

내실을 다져야 할 때다.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전조가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까운 것은 해명에만 급급한 제주항공 측의 태도다.

지난 25일 발생한 긴급회항을 두고 '이륙 전 고장을 알고도 출발했다'는 의혹이 일자 제주항공은 "단순한 버튼 오작동 문제였고, 이륙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해명하면서 "국토부가 조사 중이니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려달라"고 했다.

하지만 제주항공의 말처럼 국토부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이륙할 수 있었는지 여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괜한 논란만 키웠다는 지적이다.

또, 최근 조종사와 관제탑의 교신록 공개로 의혹이 짙어지자 제주항공은 "답변할 수 없다"고 태도를 바꿨다. 앞으로 국토부 조사 결과에 대한 제주항공의 해명은 어떨지 벌써 궁금하다.

해명보단 구체적인 대책과 방안을 제시해야 할 때다. 대형사고 발생 시 앞서 해명의 사실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제주항공을 걱정스레 바라보는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우선이다. 항공사에 있어 신뢰도 추락은 비행기 추락과 맞먹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