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아현 전산학부 석사과정, 이선재 전산학부 석사과정, 오상은 전산학부 박사과정, 신인식 전산학부 교수(이상 KAIST), 스티브 고 교수(미국 버팔로대). [사진=KAIST]
김아현 전산학부 석사과정, 이선재 전산학부 석사과정, 오상은 전산학부 박사과정, 신인식 전산학부 교수(이상 KAIST), 스티브 고 교수(미국 버팔로대). [사진=KAIST]

[이뉴스투데이 여용준 기자] 하나의 앱을 일반 스마트폰과 폴더블, 듀얼 스크린 등 다양한 폼팩터에 맞춰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신인식 KAIST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 지난달 21부터 25일(현지시간)까지 멕시코 로스카보스에서 열린 ‘ACM 모비콤 2019’ 국제 학회에서 이같은 기술을 담은 모바일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 ‘플루이드(FLUID)’를 발표해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1일 KAIST에 따르면 모바일 통신 및 컴퓨팅 분야에서 최고 권위의 학회인 ACM 모비콤에서 우리나라 주관기관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받은 것은 25년 만에 최초다.

미국 버팔로 대학교 스티브 고 교수와 공동으로 진행한 이 연구는 22일 ACM 모비콤 2019 국제 학회에서 발표됐으며 현장 기술 시연을 통해 다양한 다중 기기 사용 시나리오들을 선보이며 여러 글로벌 회사 및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최근 듀얼 스크린폰 및 폴더블폰 등 새로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가 속속 출시되고 있으며 이미 우리 주위에서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을 쉽게 접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모바일 앱 개발 및 사용 개념은 단일기기 모델에 국한돼 새로운 추세인 다중 기기 활용의 잠재성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신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고정 관념 및 기술적 한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다중 기기 개념을 제시하는 ‘플루이드’를 개발했다.

논문의 제1 저자인 오상은 박사과정은 단일기기 가상화 기술을 핵심 기반 기술로 소개하며 플루이드를 통해 개별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요소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여러 기기에 배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시중의 기존 모바일 앱을 수정하거나 재개발하지 않아도 다중 기기 환경에서 새로운 형태로 앱을 사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신인식 교수는 “제안하는 플루이드 플랫폼이 가지는 높은 유연성과 범용성은 단일 기기 패러다임에서 새로운 다중 기기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가속할 것으로 기대하며, 지금껏 생각할 수 없던 새 형태의 앱 활용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5G, 듀얼 스크린폰, 폴더블폰 등 차세대 제품에 적용 가능하며 시장 선점 효과를 통한 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