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익산공장 ESS 배터리 모듈. [사진=LG화학]
LG화학 익산공장 ESS 배터리 모듈. [사진=LG화학]

[이뉴스투데이 유준상 기자] “최근 불이 난 ESS가 작농하는 밭에서 얼마 안 떨어져 있어 피해를 입을까봐 두렵다. 잊을 만하면 터지는 ESS 사고에 불안감만 더 커지고 있다” (농업인 김모 씨, 경남 거창 거주),

“우리 동네 시멘트공장에서 불이 나 무려 41억원의 재산 피해를 입었다. 불안해서 잠이 안 온다. 계속해서 문제를 일으키는 전국의 LG화학 ESS를 전량 수거해 폐기해야 한다.” (시멘트공장 노동자 박모 씨, 충북 제천 거주).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에서 LG화학 제품이 유독 높은 사고 발발률을 내고 있다. 책임 소재가 명확한 만큼 국민 안전을 위해 해당 사 제품을 전량 수거·폐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23일 경찰 조사와 업계 설명을 종합하면 지난 21일 경남 하동군 진교면의 한 태양광 발전설비의 ESS에서 불이 나 4억원 상당의 재산 피해를 내고 진화됐다.

이곳 ESS에 사용된 배터리는 충북 청주시 LG화학 오창공장에서 2018년 초 생산된 제품이다. 이 공장은 국내 최대규모의 ESS 배터리 생산시설이다. 지금까지 불이 났던 ESS에 사용된 LG화학 배터리는 모두 중국 난징공장에서 2017년 생산된 제품이었고, 국내 생산 제품으로는 이번이 첫 사례다. LG화학은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라며 “화재가 발생한 곳에서 사용된 배터리와 같은 모델을 쓰는 다른 사이트의 가동률을 95%에서 70%로 낮추도록 조치했고, 이에 따른 비용 손실을 부담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민관합동 조사단은 지난 6월 ESS 화재 원인에 대해 배터리시스템 결함, 전기충격에 대한 보호체계미흡, 운용환경관리 미흡, ESS 통합관리 체계부재 등 4가지를 꼽았다. 즉 배터리 자체가 원인은 아니라는 판단이다.

하지만 그에 따른 배터리 주변 장치 보완과 보강 이후에도 4건이나 더 사고가 발생하면서 배터리의 하자를 원인으로 돌리는 시각이 점차 커지고 있다.

또 이번 하동 건까지 특정업체 생산 배터리가 탑재된 ESS가 압도적인 사고 빈도율을 보였는데 이러한 경향성이 배터리가 사고 원인이라는 개연성을 높이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정부 조사 결과 발표 이후 발생한 4건의 화재 중 삼성SDI는 단 1건인데 LG화학은 3건을 차지했다. 최고 ESS 화재 사고가 발생했던 2017년 8월부터 현재까지 종합해보면 총 27건 중 LG화학 배터리는 15건, 삼성SDI 배터리는 10건을 차지했다. 압도적인 편차다.

한 에너지 전문가는 “한두 건도 아니고 수십 차례나 발생한 ESS 사고에서 꾸준하게 편향적인 경향성을 보여왔다는 건 우연의 일치라고 보기 어렵다”며 “LG화학 배터리 탑재 ESS의 사고 발발률이 압도적으로 높은 건 배터리 자체가 화재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해석을 충분히 이끌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 대책 발표에도 화재가 끊이지 않자 지난 14일 삼성SDI는 최대 2000억원을 들여 화재 차단 특수 소화시스템 도입을 포함한 안전성 종합강화대책을 내놨다. LG화학도 화재 확산 위험성을 차단하는 제품을 준비하고 있으며, 제품 교체 등 적극적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