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 유전 드론 테러가 전세계 에너지 시설을 공포로 몰아넣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유전 드론 테러가 전세계 에너지 시설을 공포로 몰아넣고 있다.

[이뉴스투데이 유준상 기자] 최근 드론 테러 발발률이 높아지는 가운데 석유‧화학‧가스시설‧발전소 등 국가 에너지 기간시설들이 드론 테러에 무방비로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규환 의원(자유한국당)이 에너지공기업들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에너지 비축시설에 대한 드론 대응태세가 전무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수력원자력, 남동·남부·중부·동서·서부발전 등 5개 발전사, 석유공사, 가스공사 등에서 현재까지 근무자가 육안으로 드론을 확인한 사례만 16건에 달했다.

드론 식별 및 대응체계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평가다. 현재 발전소 또는 비축기지 근무자가 육안을 통해 드론을 인지하면 초소 근무자에게 신고하고 초소 근무자는 육안 또는 망원경, 쌍안경 등 관측 장비를 이용해 드론 위치와 이동 방향을 추적해 경찰·군부대에 출동을 요청하는 방식이다.

이렇다 보니 드론 출몰이 있었던 한수원, 가스공사, 석유공사와 지금까지 출몰 확인 현황이 없었던 5개 발전사, 지역난방공사 모두 근무자가 인지를 못하는 경우 식별이 곤란함을 인정한 상황이다.

방대한 비축기지와 발전기지를 식별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높다. 초소 근무자 1인이 수천평에서 수만평이 넘는 지상과 항공을 쌍안경으로 육안으로 감시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야간 식별 장비도 부족한 상황이다. 더욱이 각 기지별 초소와 경비근무자들은 공중으로부터의 위협이 아닌 지상과 외부 위협에 대한 감시를 목적으로 훈련받아 왔다.

김규환 의원은 “울산 석유 비축기지에 출몰한 드론의 경우 사전 승인기관의 허가를 받았음에도 해당 시설에 전달하는 체계가 없어 불필요한 행정력 낭비를 초래했다”며 “군‧경 조사 후 결과에 대해서도 해당시설에 공유해주는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산업부 차원의 부처가 협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도적으로 드론 감시체계에 대한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만큼 안티드론 기술 개발 등 국가 핵심 보안시설에 대한 정부 차원의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사고 발생시 관련 공기업 탓만 할 것이 아니라 기술의 발전을 따라가지 못하는 정부와 공기관의 안일한 상황 인식에 대해 산업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