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의 전력케이블. [사진=한전]
한전의 전력케이블. [사진=한전]

[이뉴스투데이 유준상 기자] 전국에 설치된 한국전력공사의 전력구와 공동구 내 839km 길이의 전력케이블이 화재에 취약한 구조라 국민 안전이 위협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 위원회 소속 이훈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전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의하면 전국 전력구와 공동구 내 비난연성 전력케이블 1466km 중 43%에 해당하는 627km만 교체가 이뤄지고 나머지 839km는 아직 교체가 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전은 2015년, 비난연성 전력케이블 교체사업을 계획해 시행 중이다. 이 사업은 비난연성 전력케이블을 쉽게 타지 않는 성질의 난연성 케이블로 교체해 화재 안전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한전은 2014년도 부산 녹산 전력구에서 전력케이블 접속재 화재사건이 발생해 약 3000곳에서 정전이 발생하고, 1억6000만원 가량의 재산피해를 낸 사건을 계기로 해당 사업을 계획했다.

당초 이 사업은 올해까지 난연케이블로 교체를 완료하기로 목표를 세웠다. 그런데 올해 10월까지 여전히 839km만큼의 전력케이블이 교체되지 못한 상태여서 상당한 길이의 케이블이 화재위험으로부터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직 교체되지 않은 케이블들은 화재예방의 차원으로 연소방지도료가 도포돼 관리되는 상황이다. 연소방지도료는 ‘화재예방법 시행규칙’ 등 관련 규정에 따라 비난연성 전력케이블에는 연소방지도료를 도포해 난연성능을 확보하도록 명시한 데 근거해 시행한 상태다.

그러나 이훈 의원실에서 한전에 문의한 결과 교체되지 않은 비난연성 케이블들 중 거의 대부분의 케이블이 도료를 시공한지 10년이 넘은 것으로 밝혀졌다. 도료는 시공품질이나 온도, 습도 등 주위환경에 따라 난연성 유지 기간이 다르게 나타나며 특히 습기가 많은 공동구 내에서는 난연성 유지 기간이 급감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실제로 2014년도에 한국전력연구원에서는 도료를 도포한지 10년 이상 경과할 경우 난연성능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한전은 “난연성케이블로의 교체공사가 비용도 많이 들며, 공사도 매우 까다롭고 어렵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특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전에 따르면 1km의 전력케이블을 교체하는 데 3억원 가량의 비용이 투입된다.

이에 한전에서는 케이블 전량을 난연케이블로 교체하는 기존의 계획이 아니라 남은 839km 중 255km는 난연케이블로 교체하고, 나머지 584km는 난연소재로 구성된 차화커버를 씌우는 방식으로 바꾸는 계획을 수정했다. 차화커버는 케이블을 커버로 감싸 화재위험으로부터 보호하려는 장치로 1km 설치에 6200만원이 들어 난연성 케이블 교체보다 훨씬 저렴하다.

하지만 이것은 오래된 케이블에 새로운 커버를 덮는 형태이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근본적 화재안전 보강책으로서 완벽하게 난연 기능을 확보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한전은 “차화커버가 난연케이블보다 난연성이 더 높고 전체적인 난연성 시험 기준도 더 엄격하다”며 “차화커버를 설치해도 이후 진단으로 불량 판정시에는 난연케이블로 교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훈 의원은 “한전이 기존의 계획을 변경해 난연성 확보를 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이는 되레 쉬운 길로 가려다 자칫 더 어려운 경우가 생길 수도 있는 대목”이라며 “한전은 지금의 케이블 교체사업 계획이 비용과 시간을 줄이기 위한 궁여지책 수단이 되지 않도록 앞으로 케이블교체사업을 진행하면서도 동시에 더욱 면밀한 점검계획과 관리계획을 수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