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전경.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전경.

[이뉴스투데이 이상헌 기자] 정부의 금융시장 활성화와 부동산 수요억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부자들이 금융 자산보다는 '강남·서초·송파'내 알짜 자산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KB금융지주가 발표한 '2019 한국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금융자산을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부자가 지난해 말 기준 32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3000명(4.4%)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다.

부자는 2014년엔 23만7000명, 2015년 25만4000명, 2016년 27만1000명, 2017년 31만명으로 늘어나면서 증가폭을 키우다가 지난해에는 주춤해졌다.

반면 이들의 총자산의 절반 이상은 부동산이었다. 부동산자산 53.7%, 금융자산 39.9%의 비중으로 구성됐다. 나머지는 회원권, 예술품 등이었다.

이번 조사 결과는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한국은행과 통계청, KB금융 고객데이터를 바탕으로 1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40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하는 방식으로 도출됐다.

특히 부자들의 분포를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몰락하는 지방과의 양극화가 심각했다. 서울(14만 5000명), 경기도(7만 1000명), 인천(1만명)이 전체의 69.6%를 차지했다. 그 외에는 부산(2만 4000명), 대구(1만 5000명), 경남(1만명) 순으로 많았다.

서울 안에서는 46.6%가 서초·강남·송파구 등 ‘강남 3구’에 거주했다. 강북지역에 33.7%, 이들 3구를 제외한 강남 지역에 19.7%가 살았다. 또 ‘강남 3구’ 거주자들의 자산의 절반 이상이 부동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연 평균 소득은 2억 2000만원으로 일반 가구의 3.9배에 이르렀다.

부자들은 월 평균 1040만원을 생활비로 쓰는데, 소비를 감안하더라도 월 500만원 이상 저축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가운데 절반 이상은 자신을 부자로 생각하지 않고 있다.

부동산 자산 비중은 이전부터 꾸준히 50%대 초반을 유지하고 있지만, 금융자산 비중은 5년 만에 처음으로 40% 아래로 떨어졌다. 작년 주요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급등한 반면, 주가는 떨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코스피는 2016년 말 2026에서 2017년 말 2467로 21.8% 급상승했고, 주식가치 상승에 따라 2017년도 증가했지만 지난 2년 증가세가 꺾였다.

다만 부자의 금융자산 비중은 국내 일반 가구(18.9%)에 비해 크다. 일반 가구는 시가 수억 원 안팎의 주택 1채와 적은 양의 금융자산을 갖고 있어 부동산 자산 비중(76.6%)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부자 가구의 연간 소득은 평균 2억 2000만원으로 일반가구(5700만원)의 3.9배 수준이었다. 이 중 노동소득 비중은 63.0%, 재산소득은 32.5%였다.

부자 가구가 주거, 교육, 여가·취미 등 순수 생활비로 쓰는 소비지출액은 월평균 1040만원으로 집계됐다. 일반가구(254만원)의 4배 수준이다.

부자 가구의 연간 저축 여력(연 소득에서 생활비, 세금, 3대 보험료를 제외한 금액)은 평균 6620만원으로, 월 500만원 이상 저축할 수 있는 여력이 있었지만 금융권에 재산을 맡기는 것을 회피하는 경향이 강했다.

‘한국에서 부자라면 얼마 정도의 자산을 갖고 있어야 할까’라는 질문엔 평균 67억원이 답으로 돌아왔다. 50억원(22.7%), 100억원(18.3%), 30억원(17.2%) 순으로 많았다. 이들 중 ‘지금 나는 부자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45.8%에 달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