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월 카카오모빌리티 미디어데이에서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가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3월 카카오모빌리티 미디어데이에서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가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고선호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대규모 자본을 바탕으로 택시회사 인수 행보를 본격화하면서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들이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특히 최근 정부의 택시제도 개편으로 정체기를 겪고 있는 플랫폼 기업과 대기업 간의 갈등 양상이 격화될 전망이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는 최근 택시회사인 진화택시, 중일산업과 인수 계약을 맺으며 약 180여 개의 면허를 보유하게 됐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이 같은 행보는 연내 출범 예정인 대형 택시 서비스 ‘라이언 택시’의 기반을 위한 작업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달 모빌리티 사업 전담 특수목적법인인 ‘티제이파트너스’를 설립하면서 이 같은 주장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현재 국토교통부가 추진 중인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과 택시업계 간 상생 조율안인 ‘택시제도개편안’과 관련, 업계 간 논의가 아직 마무리 되지 않은 상황으로 인해 세부 내용이 확정되지 않아 참여 기업들의 손발이 묶여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29일 서울 중구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에서 열린 ‘택시제도 개편방안 실무 논의기구 제1차 회의’에서 공동위원장을 맡은 김상도 국토부 종합교통정책관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29일 서울 중구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에서 열린 ‘택시제도 개편방안 실무 논의기구 제1차 회의’에서 공동위원장을 맡은 김상도 국토부 종합교통정책관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특히 택시제도 개편안의 주요 내용 중 하나인 ‘택시면허 임대 운영’ 항목으로 인해 기존 렌터카·자가용을 기반으로 모빌리티 사업을 진행해 오던 플랫폼 기업들은 사업 방향성 자체를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플랫폼 기업들의 신규 사업에 제동이 걸린 것은 물론, 기존 서비스 확대조차 어려운 상황으로 일각에서는 이런 상황을 이용해 카카오 측에서 택시업계와 손을 잡은 것이 아니냐는 주장도 제기된다.

여기에 카카오모빌리티의 택시회사 ‘줄인수’가 이어지면서 플랫폼 기업들의 불안감이 더욱 커진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인수의 형태로 경쟁이 과열되기 시작하면 대기업의 자본력 횡포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며 “혁신·성장은 온 데 간 데 없이 모빌리티 업계도 대기업 자본 축의 하나로 자리잡게 될 것이며, 이는 곧 소비자의 비용 부담으로 전가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가 추진하고 있는 택시-플랫폼 상생 종합방안 실무기구와 관련, 택시업계들의 반발이 거세지면서 플랫폼 기업들의 부담은 더욱 커진 상황이다.

국토부는 지난달 22일 코리아스타트업포럼과 카카오모빌리티, 타다 운영사인 VCNC 등 20여 개 모빌리티 업체와 간담회를 갖고 실무기구 출범에 따른 업계 의견을 종합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후 같은 달 29일 첫 실무회의를 개최했으나 개인택시연합회를 제외한 3개 택시단체들이 불참하면서 출범 초기부터 파열음을 내고 있다.

지난달 19일 진행된 ‘타다 운행정지 및 증차금지 촉구’ 집회에서 서울개인택시평의회 소속 택시기사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19일 진행된 ‘타다 운행정지 및 증차금지 촉구’ 집회에서 서울개인택시평의회 소속 택시기사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토부는 이에 참여업체를 중심으로 실무 논의기구 활동을 강행할 것을 표명했지만, 그럼에도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로 구성된 법인택시노사 3단체는 여전히 실무기구 참석을 거부하면서 ‘타다(VCNC) 퇴출’만을 요구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택시 단체들이 특정 업체 참여를 이유로 논의 자체를 거부하는 것은 새로운 교통 서비스에 대한 시대적 요구와 국민들의 기대를 도외시한 결정”이라며 “택시제도 개편방안에 대해 환영 입장을 표명했던 지난 입장과는 상반된 자세를 보이고 있어 정부의 입장도 난처하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