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AIST]
[사진=KAIST]

[이뉴스투데이 여용준 기자] 일본이 7일 백색국가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내용을 담은 법령 개정안을 공포한 가운데 KAIST와 서울대학교 등 국내 석학들이 반도체·디스플레이 관련 소재와 부품, 장비 공급 안정화 지원에 발벗고 나선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산학기술협력 조직인 SNU공학컨설팅센터에 소재, 부품, 장비 기술자문 특별 전담팀(TF)을 구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산업별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금속, 화학소재의 분야에 대해 서울대 공대 소속의 △반도체공동연구소 △차세대 자동차 연구센터 △자동화시스템공동연구소 △신소재공동연구소 △정밀기계설계공동연구소 △화학공정신기술연구소의 대규모 연구소들이 기술자문을 지원한다.

TF팀은 이번주 내로 출범해 정부가 “조기에 공급 안정화가 필요하다”라고 밝힌 100대 품목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SNU공학컨설팅센터를 통해 서울대 공대 320명의 교수들과 애로기술지원에 대한 상담도 가능하다. 

TF팀을 조직하는 SNU공학컨설팅센터는 서울대 공대가 4년 전부터 국내 중소·중견기업들의 부품 국산화, 글로벌 기술력 제고, 주 핵심 품목 부품의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업들에게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됐다. 개소 후 현재까지 1600건의 기술개발 및 자문을 통해 다양하게 중소·중견기업들을 지원해왔다.

박희재 기계항공공학부 박교수는 반도체·디스플레이 검사 장비 기술을 대학원 연구진들과 함께 개발해 대일 무역 의존도를 낮췄으며 김수환 교수팀은 IoT 기기의 핵심 기술인 고해상도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개발에 성공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4차 산업 분야 기술을 국내 기업에 이전해 상용화에도 성공했다.

서울대 공대 기술자문 TF팀 지원분야. [사진=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서울대 공대 기술자문 TF팀 지원분야. [사진=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앞서 KAIST는 지난주 비상간부회의를 열고 반도체·에너지·자동차 등 주요산업 분야의 핵심소재·부품·장비업체들의 원천기술 개발지원을 위해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KAMP)’을 설치하기로 했다. 

자문단은 자문단장 1명과 기술분과장 5명, 명예교수와 현직교수 등 100여 명의 자문위원으로 구성됐다.

자문단장은 전사적 차원의 지원 및 대응을 위해 최성율 공과대학 부학장이 맡았다. 이어 기술분과는 첨단소재분과와 화학·생물분과, 화공·장비분과, 전자·컴퓨터분과, 기계·항공분과 등 5개 분과로 나눠진다. 각 팀장은 관련 분야 학과장이 맡을 예정이다. 

이밖에 각 분과마다 해당 분야의 명예교수와 현직교수 등 20여 명씩 참여해 모두 100여 명으로 구성된 자문위원을 중심으로 주력산업 공급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159개 핵심품목과 관련한 중견·중소기업의 국산 원천기술 개발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서울대 공대와 KAIST는 각각 전담 접수처를 마련하고 기업들의 원스톱 상담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