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천문연구원이 관측한 2018 PM29과 2018 PM28 소행성. [사진=한국천문연구원]

[이뉴스투데이 여용준 기자] 우리나라의 우주산업이 연이어 성과를 내면서 기반을 다져가고 있다. 지난해 말 누리호 시험발사체를 성공적으로 발사 시킨데 이어 차세대소형위성도 발사에 성공해 우주임무 수행에 나섰다. 그리고 최근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탐사임무에 적합한 천체와 지구 위협 소행성을 발견해 우주 연구의 기반을 마련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브리핑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산하 연구시설로부터 새로운 천체를 발견했다고 전했다.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MPC)는 이 천체가 지구위협소행성(PHA)이라고 밝혔으며 천문연은 이 천체에 대해 ‘2018 PP29’라고 임시번호를 부여했다. 

앞서 천문연은 미래 탐사임무에 적합한 또 다른 천체를 발견했다. MPC는 3월 21일 이를 근지구소행성(NEA)으로 분류하고 임시번호 ‘2018 PM28’을 붙였다.

천문연 연구팀은 지난해 8월 칠레, 호주, 남아공 관측소에서 운영하는 지름 1.6m급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망원경 3기로 두 소행성을 발견했다. 이어 2018 PM28(PM28)과 2018 PP29(PP29)에 대해 각각 44일과 10일 동안 그 궤도 운동을 추적해 정밀궤도를 얻는데 성공했다. 

PP29는 발견 당시의 밝기와 거리 그리고 소행성의 평균반사율을 고려하면 크기 160m급으로 추정된다. 

PP29의 궤도와 지구 궤도가 만나는 최단거리를 의미하는 최소궤도교차거리(MOID)는 지구-달거리의 약 11배인 약 426만㎞이다. 이는 지구위협소행성의 조건 가운데 하나인 ‘MOID가 0.05AU보다 가깝다’는 내용을 충족한다. 

PM28은 크기가 직경 20~40m 사이로 추정된다. 궤도는 지구위협소행성의 조건에 부합하지만 충돌이 일어났을 때 반경 수백㎞ 지역에 재난을 초래할 수 있는 크기인 지름 140m 보다 작아 지구위협소행성으로 분류되지는 않았다.

PM28은 지구와 비슷한 궤도로 공전하는 특이한 움직임을 보인다. 근지구소행성 대부분은 궤도가 긴 타원모양이고 궤도평면이 지구 공전궤도면에서 크게 벗어나 있다.

천문연은 PM28과 같이 지구의 궤도와 비슷한 근지구소행성은 미래 탐사임무 후보로 관리된다고 설명했다. PM28의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본격적인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지구에서 작은 추력으로 도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연구팀은 계산 결과 향후 100년 동안 PM28은 충돌 위협이 없다고 밝혔다. PP29의 경우 NASA 제트추진연구소의 센트리 시스템은 PP29가 2063년과 2069년 지구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다. 두 번의 충돌 확률을 더하면 28억분의 1로 아직 우려할 단계는 아니다. 

다만 미래 충돌위협을 구체적으로 예측하거나 소행성 탐사 임무 대상으로 결정하기 위해서는 정밀궤도와 자전특성, 구성 물질과 같은 다양한 성질을 추가적으로 밝혀야 한다. 

KMTNet 망원경. [사진=한국천문연구원]

이번 소행성을 발견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KMTNet는 천문연이 2015년 말부터 외계행성 탐색 외에 초신성, 은하, 소행성 등 다양한 연구목적으로 운영하던 것이다. 연구팀은 KMTNet을 활용해 2016년부터 남천 황도대 집중탐사연구(딥 사우스, DEEP-South)를 수행해오고 있다. 황도대는 소행성들이 많이 발견되는 길목을 말한다.

천문연은 자연우주물체 등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우주물체감시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정부는 2015년 1월 천문연을 우주환경감시기관으로 지정했다. 

두 소행성을 발견한 정안영민 천문연 박사는 “한국 최초의 지구위협소행성 발견은 외계행성탐색시스템의 광시야 망원경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우리나라의 미래 소행성 탐사를 위한 기반 연구를 꾸준히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말 누리호 시험발사체 성공부터 차세대소형위성 발사까지 우주산업에서 연이어 성과를 내고 있다. 이에 따라 2025년까지 차세대중형위성 3기를 개발하기 위해 3067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들 위성에는 5m급 해상도를 갖춘 전자광학카메라와 10m급 C-밴드레이다 등이 탑재될 예정이다. 우선 4호를 먼저 개발하고 이후 3호, 5호로 순차 개발하며 4호는 올해 하반기 착수해 2023년 발사할 예정이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차세대중형위성개발의 2단계 추진으로 국내 민간 중심 위성개발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고 국가 우주산업 활성화와 세계 우주시장 진출 확대의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정부는 앞으로도 우주산업 발전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