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 로봇이 인간을 대체하게 된 현대자동차 생산라인. [사진=현대자동차]

[이뉴스투데이 이상헌 기자] 자동화와 최신 설비에 대한 투자가 증가할 경우 노동생산성이 향상되고, 일자리 재창출로 이어질 수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이 발달해 로봇 등이 사람의 일자리를 대체하더라도 고용감소로 보기는 어렵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국내총생산(GDP) 10억원당 취업자수 감소는 1인당 국민소득 증가를 보여주며 그 자체로 고용 감소나 고용 없는 성장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4일 발표했다.

한경연 조사에 따르면 GDP 10억원당 취업자수가 2000년 25.8명에서 2018년 16.8명으로 하락했다. GDP 10억원당 취업자수 하락은 10억원의 부가가치를 만드는데 더 적은 노동력으로도 충분하다는 의미로 이는 1인당 노동생산성의 상승을 뜻한다.

한경연은 1인당 노동생산성은 1인당 국민소득과 비례해 움직이기 때문에, ‘GDP 10억원당 취업자수 감소’는 ‘1인당 국민소득 상승’을 보여주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1인당 실질 국민소득(GNI)은 2000년 1만4989달러에서 2018년 2만6324달러로 상승해 GDP 10억원당 취업자수와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였다.

국내 경제의 GDP 10억원당 취업자수는 감소했지만 기존산업 확대와 신산업 등장으로 취업자수는 2000년 2100만여개에서 지난해 2700만여개로 증가했다. 

경제성장 없이 GDP 10억원당 취업자수만 25.8명에서 16.8명으로 줄었다면 취업자수는 2000년 2117만3000명에서 1378만2000명으로 감소해 739만1000명은 일자리를 잃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경제규모가 2000년 820조8000억원에서 지난해 1597조5000억원으로 2배로 커져, 취업자수가 2682만2000명으로 564만9000명 늘었다. 한경연은 경제가 성장했기 때문에 739만1000명을 경제시스템 내부로 끌어안고 564만9000명을 위한 일자리도 새로 만들 수 있었다며, GDP 대비 취업자수 하락이 그 자체로 고용 감소나 고용 없는 성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주요 선진국에서도 국민소득이 오르고 경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GDP당 취업자수가 감소했다.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 인구 5000만명 이상인 30-50클럽 6개국은 1인당 국민소득이 2만 달러에서 4만 달러로 오르면서 ‘GDP 1백만 달러당 취업자수’가 평균 19.8명에서 11.5명으로 하락했다. 

한경연은 GDP당 취업자수의 ‘감소’와 ‘정체’ 사례로 미국과 이탈리아를 비교했다. 미국은 1인당 국민소득이 1960년대 2만달러에서 1984년 3만달러, 1997년 4만달러, 2007년 5만 달러로 오르며 GDP 1백만 달러당 취업자수가 1970년대 16.5명에서 14.2명, 11.6명, 9.7명으로 감소했다. 

이탈리아는 1인당 국민소득이 ‵74년 2만 달러에서 1989년 3만달러로 오를 때 GDP 1백만 달러당 취업자수가 17.1명에서 12.1명으로 하락했다. 이후 GDP 1백만 달러당 취업자수는 10명대에서 횡보 중이고 1인당 국민소득은 30년째 3만달러에 머무르고 있다.

특히 2010~2018년 GDP 10억원당 취업자수 감소 업종 중 일자리가 산업평균보다 많이 늘어난 업종은 중화학공업, 정보통신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이다. 중화학공업은 장치산업이 많아 노동투입은 적고 글로벌 경쟁 심화로 효율화 압력이 크지만, 설비투자와 R&D투자로 경쟁력을 확보해 산업이 연 3.5% 성장했다. 이에 따른 고용도 연 1.6% 늘었다. 

정보통신업은 빅데이터, O2O(온·오프라인 연계)서비스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신산업 부상으로 산업이 연 3.8% 성장, 고용이 연 2.8% 증가했다.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은 산업구조 고도화로 연구개발, 전문서비스 수요가 늘어 부가가치와 고용이 3.5%, 연 2.7% 늘어났다. 3개 업종은 월 평균임금도 420여만 원 이상이었다.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창출되려면 산업고도화, 신산업을 통한 성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GDP 10억원당 취업자수가 하락했다는 것은 노동생산성이 오르고 소득이 상승했다는 뜻”이라며 “걱정할 대상은 GDP 10억원당 취업자수 ‘하락’이 아닌 ‘상승’”이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그는 “고부가가치·신산업 성장을 통해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환경이 조성되어야한다”고 강조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