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명동 거리 모습[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유제원 기자]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 달러를 돌파한 시기가 2018년에서 2017년으로 1년 당겨졌다.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이전 지표보다 연평균 0.2%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한국은행은 국민계정 통계의 기준년을 2010년에서 2015년으로 개편한 결과 1인당 GNI 및 경제성장률 지표가 이처럼 상향 조정됐다고 4일 밝혔다.

국민소득통계는 특정 연도를 기준연도로 해 편제한다. 경제구조 변화 등을 반영하기 위해 일정 기간이 지나면 기준연도를 개편한다.

한국의 경우 5년마다 기준연도를 변경하고 있다. 한은은 앞서 2014년에 기준연도를 2010년으로 개편한 바 있다.

기준년 개편결과 1인당 GNI는 2017년 2만9745 달러에서 3만1734 달러로 1990 달러(소숫점 반올림 적용) 늘어나면서 1인당 GNI가 3만 달러를 넘은 시기가 2018년에서 2017년으로 조정됐다.

2018년 1인당 GNI는 3만1349 달러에서 3만3434 달러로 상향 조정됐다. 2만 달러를 처음 돌파한 시기는 2006년(2만795 달러→2만1664 달러)에서 변화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한국의 1인당 GNI가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까지 걸린 기간은 12년에서 11년으로 단축됐다.

2001년부터 2018년까지 실질 GDP의 연평균 성장률은 3.9%로 기존 수치(3.8%) 대비 0.2%포인트(소숫점 둘째 자리 표기 시 0.16%포인트) 올랐다.

2018년 성장률은 2.7%로 변화가 없었지만 2010년도 이전의 성장률이 0.1∼0.4%포인트씩 상향 조정됐다.

기준연도인 2015년의 명목 GDP는 1658조원으로 기존 대비 94조원(6.0%) 늘었다. 2010∼2018년 중에는 명목 GDP가 연평균 57조원(4.5%) 늘었다.

한은은 경제규모가 확대 편제된 배경에 대해 "경제총조사, 실측 투입산출표, 국제수지표(신계열)과 같이 행정자료 정보가 보강된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또한 기업(비소프트웨어 업종)의 자가개발 소프트웨어 지출을 자산으로 평가하는 등 일부 추계방법 개선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기술이 발전에 따른 공유경제의 생산 규모도 이번 개편에 처음 반영됐다. 공유경제는 개인 간(P2P) 거래로 이뤄져 그동안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다.

한은은 에어비앤비 등 숙박공유, 카풀서비스 등 승차공유, 프리랜서 등 재능공유 부문의 디지털·공유경제의 생산 규모를 지난해 기준 1978억원으로 집계했다.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01%로 미약하지만 2015년 204억원 규모였던 점을 고려하면 성장세가 매우 빠르다고 한은은 평가했다.

한은은 기준연도를 개편하면서 새로운 지표들도 추가해 발표했다. 대표적인 게 영세 자영업자의 소득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가계 혼합소득이다.

2010∼2017년 중 가계 혼합소득은 65조∼68조원으로 집계됐다. 2011∼2015년에는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6∼2017년 증가세로 돌아섰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