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이 개발한 한국형 APR 1400 원자로. 2016년 8조1000억원을 달리던 두산중공업의 수주는 지난해 5조1000억원으로 2년사이에 절반 가까이 줄었다. [사진=두산중공업]

[이뉴스투데이 이상헌 기자] 두산그룹에 탈원전 후폭풍이 몰아치고 있다. 주력사이던 두산중공업마저 유상증자로 받는 신세로 전락하면서 유동성 위험이 커졌다.

27일 신용평가 시즌이 중반으로 이어지는 가운데, 평가기관들이 두산그룹 계열사의 신용등급을 낮춰 발표하고 있다. 두산, 두산중공업, 두산건설의 신용등급이 한단계씩 하향조정되는 한편, 두산과 두산중공업의 등급전망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두산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A-'에서 'BBB+'로, 두산중공업도 'BBB+'에서 'BBB'로 변경했다. 나이스신용평가도 ㈜두산의 장기신용등급을 A-에서 BBB+로 두산중공업 장·단기신용등급을 BBB+, A3+에서 BBB, A3으로 조정했다. 

두산건설의 부실이 수년째 이어지는 가운데, 탈원전이란 복병을 맞게 된 것이 이번 위기의 본질이다. 올해 1분기 ㈜두산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9.8%, 두산중공업은 37.8%, 두산걸설은 57.8%씩 감소했다.

당초 두산그룹의 애물단지는 건설부문이었다. 분양 부진 여파로 5518억원의 대규모 손실이 발생하며, 부채비율도 지난해 3분기 225%에서 지난해 말 626%까지 치솟았다. 이에 올해 1분기 희망퇴직과 함께 유상증자를 통해 부채비율을 267%로 줄일 수 있었다. 
 
문제는 지금까지 버팀목 역할을 해오던 두산중공업도 유상증자를 통해 수혈을 받아야 하는 처지가 됐다는 점이다. 두산중공업은 보통주 8500만주 유상증자를 통해 4717억원을, 기명식 전환상환우선주(RCPS) 936만주를 통해 566억원 등 총 5283억원을 조달하기로 했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주력계열사 두 곳이 동시에 흔들리면서 그룹 전반적으로 위기감이 커지는 분위기"라며 "업친데 덮친 격으로 주가마저 폭락해 유동성 위기까지 이어질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지난 2월 두산중공업이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활 당시 9140원이던 주가가 6000원대로 추락하면서, 오는 29일 유상증자를 모두 마치더라도 차입에 나서야 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원자력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만기가 다가오는 차입금을 상환하고 원자로를 대체할 신사업 육성에  필요한 투자자금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 백지화 된 셈"이라며 "탈원전이 가져올 후유증을 너무나도 쉽게 본 결과"라고 지적했다.

즉 두산중공업의 어려움은 자회사인 두산건설의 영업 부진 때문이 아니라 탈원전으로 인한 수익 창출 기회 상실 때문이라는 얘기다. 2016년 8조1000억원을 달리던 두산중공업의 수주는 지난해 5조1000억원으로 2년사이에 절반 가까이 줄었다. 

반면 나홀로 성장을 달리는 예외는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중국과 유럽·북미 등 선진 시장 판매 호조와 자회사 두산밥캣의 성장에 힘입어 올해 1분기 7년 만에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1분기 매출액이 2조18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3.5% 증가한 2500억원을 기록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