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19’. [사진=고선호 기자]

[이뉴스투데이 고선호 기자]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들이 공정 개선을 통해 생산성·품질·고용 등 전체적인 경쟁력이 높아졌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보급 성과에 비해 사후관리와 업종별 교육 시스템 개선은 여전히 부족해 도입기업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3일 중소벤처기업부가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5003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성과분석’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은 평균적으로 △생산성 30% 증가 △품질 43.5% 향상 △원가 15.9% 감소 △납기 준수율 15.5% 증가하는 등 경쟁력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매출은 7.7%, 고용도 평균 3명이 증가했고, 산업재해는 18.3% 감소하면서 경영 전반의 개선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스마트공장 도입 전·후 성과에서도 소규모 기업이 공정개선 및 경영개선 성과가 대체로 높았다.

특히 10인 미만 소규모 기업의 스마트공장 사업성과가 도드라졌다.

생산성이 기존보다 39% 증가해 전체 평균을 웃돌았으며 품질·납기·원가 개선 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고용 증가율이 84.9%에 달해 평균치인 4.2%를 크게 앞질렀다.

산업재해 감소율도 38.4%로 가장 높았다. 매출액 10억원 미만 기업의 경우 원가가 31.2% 감소해 평균 감소폭인 15.9%보다 2배 정도 개선했고, 생산·품질·납기 개선 효과도 높았다.

스마트공장 도입 수준별로는 도입 기업 대부분(78.7%)을 차지하는 레벨 1~2(기초) 수준 기업이 생산성 향상 효과가 31.2%로 높았다.

다만 품질·원가·납기 개선효과는 레벨 4(중간2) 수준기업이 가장 월등했다.

김영태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은 “이번 조사결과를 통해 스마트공장 도입 성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해 소규모 기업에 대한 스마트공장 저변확대와 함께 고도화된 공장을 구축하는 투트랙 전략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편 스마트공장 도입 이후 사후관리 및 인력 교육 등 대상기업에 대한 정부의 맞춤형 정책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스마트공장의 도입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보급 확산보다 시스템 운영 및 유지를 위한 인력 교육에 집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참여기업이 희망한 교육으로는 △업종별 맞춤형 교육(54.6%)을 가장 많았다.

이는 협동조합 등 업종별 단체를 활용한 맞춤형 교육과정 개설이 시급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 참여기업 중 93.2%가 향후 사업 유형 고도화 신청에 긍정적으로 응답해 정부의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 확대도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관련, 중기부 관계자는 “스마트공장은 아직 도입 단계이기 때문에 사후관리, 교육 등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많다. 이를 위한 연구개발 예산과 도입 기업을 위한 정책적인 지원을 갖춰나갈 계획”이라며 “스마트 마이스터 등 스마트공장 전문 교육시설 관련 예산이 올해 추가경정예산 정부안에도 반영돼 확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