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이라는 이름은 반칙과 특권이 없는 세상, 상식과 원칙이 통하는 세상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우리가 함께 아파했던 노무현의 죽음은 수많은 깨어 있는 시민들로 되살아났습니다. 그리고 끝내 세상을 바꾸는 힘이 되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님을 지켜주지 못해 미안한 마음을 이제 가슴에 묻고 다 함께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어봅시다.”

문재인 대통령이 2년 전 대통령에 당선된 뒤 8주기 추도식에 참석, 추도사를 통해 고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와 ‘노무현 정신’이 남긴 숙제를 요약한 말이다.

지금 우리 사회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0주년을 맞은 지금 반칙과 특권이 없는 세상을 살아가고 있을까. 상식과 원칙이 통하는 세상을 맞이하고 있는가.

우리의 삶은 애석하게도 그렇지 못하다. 경남 김해 봉하마을로 연간 1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을 끌어모을 정도로 노무현 정신이 울림은 여전하지만, 그가 남긴 과제를 풀어가기까지는 갈 길이 멀어 보인다.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도 당시 바꾸고자 했던 노력들이 참여정부를 계승한 문재인정부에서 현재 진행 중인 이유이기도 하다.

사실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크게 엇갈린다. 노무현 전 대통령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 중 정치적으로 그의 후광을 기대하는 쪽과 그를 조롱하는 쪽으로 확연히 갈리고 있다. 진영논리에 따라 목적은 달라도 필요할(?) 때마다 노 전 대통령을 소환하는 프레임이 특히 정치권에선 통과의례가 되다시피 된 것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을 이용하며 자칭‧타칭 ‘친노’임을 강조한다. 그런데 이들 중 상당수는 노무현 전 대통령과 그 가족, 측근들이 검찰의 칼날에 조리돌림을 당할 때 철저히 외면하거나 사법당국의 논리에 편승하여 앞 다퉈 비판의 목소리를 냈던 인사들이다. ‘노무현 정신’이 정치적으로 도움이 되자 태도를 바꾼 케이스다.

이와 달리 조롱의 도구로 이용하기도 한다.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조롱이나 모독은 현직 대통령 시절부터 이어갔던 일베 같은 극우 세력들이거나 일부 야당 인사들은 퇴임 이후 봉하마을 사저를 ‘아방궁’ ‘노방궁’이라고 폄훼했다. 서거 이후엔 대학교수들이 나서 강의나 시험 문제를 통해 고인을 모독했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더딘 감이 없진 않지만 반칙과 특권이 없는, 상식과 원칙이 통하는 세상으로 조금씩 움직이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숙원이었던 검찰 개혁이 대표적이다. 문재인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일부 개혁법안 중 실패한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 법안이 자유한국당의 저지 펜스를 넘고 패스트트랙(신속처리 대상 안건)에 올라타지 않았나.

또 노무현 전 대통령은 보수 텃밭이었던 부산의 문을 두드린 끝에 2004년 열린우리당 최초로 부산 동구에서 당선됐다. 지역주의에 균열을 낸 그의 노력이 마중물이 돼 현재 부산을 지역구로 한 민주당 의원만 6명이다. 한국당 외의 진영에서 꽂은 깃발 숫자보다는 유리천장과도 같던 지역주의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식 변화가 시작됐다는 게 중요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시작한 탈(脫) 권위주의는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 ‘사람 중심의, 사람이 먼저’로 구체화됐다. 올해 노무현재단의 추모 표어가 ‘새로운 노무현’이다. 이념과 진영을 떠나 노무현 전 대통령이 남겨놓은 꿈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정치권에서 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