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화재 사고 현장.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유준상 기자]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부상했던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이 ‘원인 모를’ 화재가 잇달아 발생하면서 위기 국면에 접어들었다. 사고에 대한 원인 진단을 바탕으로 하루빨리 개선책을 내놔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지난 2일 산업통상자원부는 당초 3월로 하겠다던 ESS 화재사고 원인 발표를 오는 6월로 늦추겠다고 밝혔다.

지난 1월부터 민관 합동 조사위원회를 꾸려 화재사고 원인 규명에 나섰지만 넉 달 동안 단 한 건의 원인도 밝혀내지 못한 것이다.

ESS는 연료전지와 더불어 문재인 정부 신사업의 핵심이다. ESS 시장의 급격한 성장세에 맞춰 ESS 투자를 늘렸던 유관 업계는 화재 원인 규명이 장기화하면서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전국 ESS 시설 1490곳 중 35%에 해당하는 522개가 가동을 멈춘 상황이다. 지난 3월에는 제조사의 자체 가동중단 조치로 765개 사업장이 가동을 중단했다. 또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국내 ESS 신규 설치 발주는 한 건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ESS는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전지를 비롯해 전력관리시스템(PMS), 설계·구매·건설(EPC), 전력변환장치(PCS), 전력계통운영시스템(EMS) 등 수많은 분야와 그에 따른 다수 업체가 얽혀있다.

이에 ESS 안에 들어가는 배터리와 설비 등을 공급하는 관련 업체들도 직간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ESS 안에 전지를 납품하는 LG화학, 삼성SDI와 ESS에 저장된 전기를 방전시키기 위해 직류(DC)에서 교류(AC)로 바꿔주는 전력변환장치를 공급하는 LS산전이 대표적이다. 3곳은 지난 1분기 실적이 어닝쇼크를 기록했다.

삼성SDI는 지난달 30일 발표한 1분기 실적에서 영업이익이 1188억원으로 전분기보다 52.2% 감소했다고 밝혔다. 중대형 전지사업 부문에서 국내 ESS 수요가 부진했다는 점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LG화학은 1분기 전지사업 부문에서 계절적 요인과 함께 ESS 화재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발생하면서 적자를 냈다. 설비 점검과 가동손실 보상 등에 따른 충당금 800억원과 국내 출하 전면 중단에 따른 손실 400억원 등 ESS 관련 기회손실이 1분기에만 12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추산됐다.

LS산전도 1분기 영업이익이 28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3%나 감소했는데 ESS 신규 수주 급감에 따른 융합사업 부문의 실적 부진이 주된 요인으로 지목했다.

한 에너지업계 전문가는 “예상치 못한 변수로 인해 안전성 리스크가 커지면서 유관 업계의 실적 악화 국면이 장기화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언론과 국민에 지탄받을 것을 두려워해 조사 결과에 대한 해명 만들기에 급급한 상황이 아니길 바란다”며 “정확한 원인 진단을 정확하게 내리고 이에 대한 개선책을 하루빨리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