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리아 태양광 발전소 전경.

[이뉴스투데이 이상헌 기자] 삼성·LG 등 국내 유수 기업이 신재생 발전 관련 사업을 축소하면서 정부의 무리한 에너지 전환 정책에 경종이 울리고 있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물산은 불가리아에서 진행해온 43MW 규모 태양광 발전 사업에서 손을 떼기로 했다. 2017년 사업부 자체를 폐지한 LG그룹에 이어 그간 상사부문을 통해 꾸준히 시장을 넓혀온 삼성까지 신재생 사업을 떠나면서 일각에서는 태양광 발전 무용론까지 거론되는 분위기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유럽을 떠난 것은 맞지만 다른 지역 발전소 운영지분까지 정리하는건 아니다. 북미 시장에 역량 집중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효율성이 떨어지는 사업 철수와 구조조정은 이미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다.

삼성물산이 매각한 태양광 발전 사업은 불가리아 지역 최대 규모 프로젝트였으나 사업을 인수한 회사들도 매입 가격 발표를 꺼리는 등 몸을 사리는 모습이다.

불가리아 정부의 무리한 신재생 전환 정책이 이번 사태를 낳았다는 얘기도 나온다. 불가리아는 2020년까지 전체 에너지원의 16%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해야 한다는 유럽연합(EU) 규정을 이유로 풍력과 태양광발전 투자 승인을 남발해왔다.

2010년 기준 3000MW 규모 투자가 인가돼 1000MW 상당의 발전소가 설치됐지만 태양광 발전으로는 57MW 전력밖에 생산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TRA 한 관계자는 “불가리아 정부는 정상 전기요금의 10~12배나 되는 태양광전기를 25년간 의무적으로 구입해야 하는 노예계약을 맺었다”며 “결국 재정 부담으로 작용해 수십년째 사업을 축소해왔다”고 말했다.

글로벌 에너지 통계기관 ‘The Electricity Map’에 의하면 불가리아 지역 내에서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되는 57MW는 전체 소비전력의 1%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실제 가동률도 5%에 불과하다.

무리한 신재생 에너지 전환 후유증은 독일 통계에서도 나타난다. 2011년 5월 독일은 2022년까지 원전 17기를 완전히 폐쇄하기로 결정하고 현재까지 원전 9기를 중단시켰다. 이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비율은 22%까지 올랐으나 석탄화력 발전이 전체의 50% 이상(30.1GW)을 차지하게 됐다.

영국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해 국내에서는 한화큐셀이 런던시에서 진행되는 주택용 태양광 프로젝트에 참가한 바 있다. 하지만 전체 발전의 4%(1.24GW)를 풍력이 차지하는 반면 태양광 발전량은 30MW로 1%에도 못 미친다.

업계 한 관계자는 “태양광 발전은 일조량 등 환경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수익을 남길 수 있다”며 “요즘 세계 주요 태양광발전 업체는 북미가 아니면 쳐다도 안 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발주 물량도 소규모여서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수익성에 가장 민감한 기업이 이 같이 반응하면서 문재인 정부가 추진 중인 ‘재생에너지 3020 프로젝트’ 역시 현실의 벽을 마주할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국 정부는 2030년까지 국내 전체 발전량의 20%를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공급한다는 자체 목표를 세우고 전북 새만금 일대에 총 4GW 규모의 태양광·풍력 발전단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노동석 에너지경제연구소 박사은 “과거 사례를 봐도 수지가 맞지 않아 기업들은 참가하지 않을 가능서이 크다”며 “지난 정부에서 부안 위도·영광 안마도 사이에 3㎿ 규모의 풍력발전기 100기 설치를 추진했으나 결국 돈이 안되니까 모두 철수했다”고 꼬집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