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I가 미국 텍사스주에 건설한 66MWdc 규모 Pearl 태양광발전소 전경. [이뉴스투데이 DB]

[이뉴스투데이 유준상 기자] 정부가 신재생에너지를 장려하면서 태양광시장의 전망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정작 시장을 떠받치는 태양광 산업의 업황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정부 목표인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20% 공급'을 달성하려면 산업계 지원과 투자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신재생 업계 전문가 지적이다.

10일 태양광 업계에 따르면 폴리실리콘, 잉곳, 웨이퍼, 태양전지(셀), 모듈 등 제조산업 전반이 저조한 실적과 열악한 상황에 놓였다.

셀과 모듈 분야가 대표적이다. 중견 태양광 셀‧모듈 제조업체인 신성이엔지는 2008년 태양광사업에 첫발을 내딛었지만 지난 10년간 줄곧 실적 부진을 면치 못했다. 특히 2016년부터 2018년 상반기 글로벌 불황이 겹치면서 최악으로 치달았다. 미국 관세 장벽, 중국 보조금 축소로 신성이엔지 태양광 셀사업 부문은 7분기 연속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신성이엔지 관계자는 “신성이엔지의 핵심 분야 가운데 매출액은 클린룸이 가장 크며 태양광은 되레 적자인 상황”이라면서 “하지만 아픈 손가락에 애착이 가듯 정부 지원책에 힘입어 태양광에 계속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폴리실리콘 업체 성적도 부진하다. 세계적으로 폴리실리콘이 공급 과잉되며 가격이 바닥을 치는데다 주 무대인 중국에서 폴리실리콘 제조업체가 증설하며 국내 업체들이 설 입지가 좁아져서다.

국내 3대 폴리실리콘 업체 한화케미칼은 최근 전체 매출 대비 폴리실리콘 매출 비중이 5% 미만으로 감소했다.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중인 한국실리콘은 지속적으로 매각 시도를 하고 있지만 지난해 11월 유찰됐다.

부진 속에서도 OCI만 설비 투자를 이어왔다. OCI는 지난해 5월 도쿠야마 말레이시아 공장을 인수하면서 연간 2만톤 규모 생산능력을 더했다. OCI는 현재 매출액의 약 40%를 태양광 폴리실리콘에서 내고 있다.

하지만 OCI 또한 폴리실리콘 실적만 따로 떼놓고 보면 암울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OCI의 폴리실리콘 제조 원가가 1kg당 약 14달러인데 현재 폴리실리콘 가격은 1kg당 10달러 미만까지 곤두박질쳤다”면서 “생산할수록 손해가 나는 열악한 상황에 직면한 OCI는 작년에 명예퇴직 신청을 받았고 일부 직원이 회사를 떠났다”고 귀띔했다.

대기업으로 눈을 돌려봐도 사정은 비슷하다. 지난해 3분기 역대 최대 매출 실적을 달성한 LG전자도 태양광 부문이 ‘아픈 손가락’이다.

LG전자의 기업 간 전자상거래(B2B)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판매는 늘고 있으나 태양광 모듈 판매가 감소해 본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태양광 모듈 원가구조 개선에도 미국 세이프가드와 주요 시장 판매 가격 하락으로 전년보다 줄었다. 태양광사업이 실적 감소에 일조했다.

국내 태양광 제조업체들이 부진한 이유는 제도적 지원이 부실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한국태양광산업협회 관계자는 “정부의 태양광 보급 확대와 산업 성장이 동조화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한 태양광업체 관계자는 “저렴한 중국 제품의 습격에 비용 경쟁력이 약화되며 모듈과 인버터 국산점유율이 점차 하락하고 있다”면서 “태양광사업 전체 매출은 8년 전과 거의 같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제조업체에 지원하는 정부 연구개발(R&D) 예산도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태양광 기업들은 기초 R&D 투자 여력이 없는 상황인데 정부의 재생에너지 연구개발 지원 예산은 2015~2018년 기준 원자력 분야의 35% 수준이다. 태양광 기업의 기초 기술개발 능력 확대에 R&D 예산을 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중견 제조업체를 위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신성이엔지 관계자는 “국내 태양광 제조업이 참여할 수 있는 보급사업을 마련함으로 고용창출과 수출확대에 나서야 한다”면서 “특히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조세 감면과 R&D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기업이 내수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현대중공업 그린에너지 관계자는 “국내 셀과 모듈 제조가 8.4GW 규모인데 내수시장 공급은 약 1GW에 불과한 수준”이라며 “최근 중국과 미국, 인도가 관세를 매기고 지원을 감축하는 등 수출 활로가 막히고 있어 내수 증진에 앞장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KS인증과 입찰조건 강화 등으로 국산품을 우대하고 대북 태양광 산업지원 활로를 열어주는 방법이 있다”고 덧붙였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