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정환용 기자] 정부가 세계적으로 다시 불고 있는 e스포츠 육성을 위해 e스포츠 경기장 구축에 나선다.

하지만 앞으로 2년간 반영된 예산이 민간에서 운영하는 경기장 구축 비용의 5%도 안돼 업계에서는 제대로 된 e스포츠 경기장 구축이 가능할 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자칫 업계 부담만 가중되는 것은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지난 10일 확정된 문화체육관광부 예산에는 e스포츠 상설경기장 구축이 포함돼 있다. 2019년 66억원을 포함해 2020년 24억원 등 총 90억원을 투입, 세 곳에 e스포츠 경기장을 건립하겠다는 계획이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LoL), 스타크래프트 2, 하스스톤 등 e스포츠가 시범 종목으로 채택된 영향이 컸다. 2022년 중국 항저우에서 개최하는 아시안게임에서는 정식종목으로 채택될 예정이다. ‘게임’에 대한 차가운 시선을 거두고 하나의 스포츠로 인식될 수 있는 교두보가 마련된 셈이다.

라이엇게임즈가 직접 운용하고 있는 서울 종로에 위치한 450석 규모의 'LoL 파크'.(사진제공=라이엇게임즈)

현재 관람객 3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e스포츠 경기장이 서울에 세 곳이 있다. 서울에는 현재는 폐쇄된 용산 e스타디움종로의 LoL 파크는 게임 개발사인 라이엇게임즈가 직접 건립과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가장 규모가 큰 OGN e스타디움은 최대 1050명의 관람객을 수용할 수 있다. 100석 이상의 전용 경기장은 다수 운영되고 있다. 이들 경기장은 경기를 비롯해 방송중계가 가능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지방에는 특설경기장이 아니면 e스포츠를 제대로 관람할 수 있는 곳이 없다. 

문체부는 e스포츠 경기장을 지방 중심으로 세운다는 계획이다.

문체부 게임콘텐츠산업과 관계자는 "2019년 상반기 중으로 경기장 개소 지역을 선정하고, 해당 지역 지자체와 협의해 2020년까지  세 곳의 e스포츠 상설경기장 운영을 시작하는 것이 계획"이라며 "2020년에 추가 투입될 자금을 더하고 건립과 운영 관련 재원을 지자체와 분담하면 e스포츠 경기와 더불어 지역 특화 콘텐츠와 게임 마케팅, 참여형 이벤트 등을 더해 게임문화를 전국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염려되는 부분은 역시 비용이다. 문체부는 기존 경기장이나 문화시설 등 사용 빈도가 높지 않은 공간을 활용하고, 경기장이 건립되는 지자체와 재원을 분담해 소요비용 대비 시설 구축을 최적화한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방송중계를 위한 장비를 지역 방송국에서 지원받는 방법을 더해 소요비용을 좀 더 줄일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민간이 운영하는 e스포츠 경기장을 살펴보면 문체부 예산으로 가능할지 의문이다.

1000석 규모 OGN e스타디움은 경기장 조성에 서울시와 문체부가 435억원을 투자했고, 방송 등 경기 운영을 위한 인프라 조성에 게임방송 OGN이 100억원을 투입했다. 라이엇 게임즈가 운영하는 LoL 파크는 임대료를 포함한 경기장 조성과 운영에 1000억원이 넘게 소요됐다.

e스포츠업계 관계자는 "서울의 e스포츠 경기장은 도심지역의 높은 임대료 때문이라는 이유도 있지만, 기업들이 e스포츠에 대한 높은 관심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가 이뤄진 결과"라며 "하지만 문체부 예산 책정을 보면 아직도 정부가 게임과 e스포츠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새해 예산에 e스포츠 관련 예산이 증액된 부분은 고무적이지만, 이 예산으로 e스포츠 경기장을 제대로 운영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며 "자칫 생색은 정부가 다 내면서 자금 부담은 기업에 다 떠넘기게 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앞선다"고 지적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