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유영준 기자] 사드(THAAD) 갈등에 이어 ‘중국제조 2025’를 감안할 때 우리 기업들은 신흥시장 진출을 강화하는 ‘차이나 플러스(China+)’ 전략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15일 발표한 ‘한·일 차이나플러스 전략 비교연구 및 시사점’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은 차이나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펼쳐왔지만 한국은 일본보다 상황이 불리하다.

일본 기업들은 지난 2010년 센가쿠 열도 영유권을 놓고 중국과 갈등을 겪자 중국 이외 지역에 생산기지를 추가 건설하는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을 펼쳤고 일본 정부는 신흥국에 대한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해 자국 기업의 인프라 수출을 적극 지원했다. 태국 투자에 집중하던 일본은 최근에는 인접국인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등으로 대상을 다각화하면서 아세안(ASEAN) 내부에서 분업체계가 구축되는 ‘태국 플러스 원’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는 달리 우리나라는 2016년 한중 사드 갈등에 더해 최근 중국이 ‘중국제조 2025’를 통해 제조업 핵심 부품과 기술 국산화를 추진하면서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다. 우리 중국 수출의 78.9%가 중간재이기 때문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중국 무역 비중도 15.6%로 일본(7.5%)의 두 배가 넘는다. 특히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될 경우 차이나 리스크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기업의 중국 대체 투자처는 단연 베트남이다. 삼성, LG 등 대기업의 전기·전자 투자가 늘면서 한국은 베트남 최대 투자국으로 부상했다. 최근 3년간 베트남 수출이 두 배로 늘면서 베트남은 한국의 3위 수출 대상국으로 도약했다. 이밖에 다른 아세안 회원국과 인도 등 신흥시장 진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는 신남방·신북방 정책을 통해 시장 다변화를 돕고 있다.

김현수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원은 “‘중국제조 2025’에 대비해 효과적인 차이나플러스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며 “베트남에 집중된 우리 기업 투자를 주변국으로 분산해 특정국에 대한 리스크를 줄이고 아세안경제공동체(AEC) 출범 등 아세안의 경제통합 추세에 맞춰 역내 진출전략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