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수출에서 반도체 비중이 지속 증가하는 가운데 반도체 호황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관심이 모아진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 세번째)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왼쪽 여섯번째)이 지난달 경기도 평택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내 반도체 공장 라인을 둘러 보고 있다.[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유영준 기자] 올해 1~8월 누적 수출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반도체 편중 흐름은 당분간 심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 반도체 성장, 미중 무역분쟁 등 불확실성이 높은 대내외 변수 속에서 반도체 호황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관심이 모아진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8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통관 기준)은 512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7% 증가했다. 특히 1~8월 누적 수출은 3998달러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이번 수출 호황 역시 전통 효자종목 ‘반도체’가 견인했다. 8월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대비 무려 31.5% 증가한 115억달러로 기존 최대 기록이었던 111억6000만달러(올해 6월)를 2달 만에 갈아치웠다. 이는 23개월 연속 증가세다. 신규 스마트폰 출시와 메모리 탑재 용량 증가 등이 반도체 호황을 이끈 요인이다.

전체 수출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도 매년 증가세다. 올 1~8월 누적 수출액 중 반도체 비중은 20.8%다. 8월 수출액인 512억달러만 놓고 보면 22.4%로 더 높다. 이 추세대로 가면 올해 전체 수출액 대비 반도체 비중은 20%를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2016년 12.6%, 지난해 17.0%에 이어 가파른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반도체 쏠림 현상에 일각에서는 단편적 수출구조에 대한 위기감이 나오고 있다. 세계 최대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지난해 11월 스마트폰이나 서버 수요 둔화를 근거로 곧 반도체 공급에 과잉이 올 것이란 분석을 내놨다.

중국 추격도 매섭다. 중국은 오는 2025년까지 반도체 자급률을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내용의 '중국제조 2025' 전략을 추진 중이다. 실제로 중국 최대 반도체 회사 칭화유니는 현재 중국 우한에 산하기업인 창장 스토리지 테크놀로지의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다. 투자금액만 27조원에 달한다. 앞서 2015년에는 230억달러(약 27조원)를 들여 세계 3위 D램 회사인 미국 마이크론 인수를 시도하기도 했다.

한국과 중국 간 '기술력 차이가 여전히 크다'는 긍정론도 있지만 막대한 자금력을 내세운 중국의 행보를 무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SK하이닉스는 투자설명서를 통해 “현재 중국 정부는 범국가적 차원에서 반도체 산업을 핵심 산업으로 선정해 육성하고 있다”면서 “중국 기업들이 D램과 낸드플래시 시장에 안착할 경우 전반적인 메모리 반도체 시장 경쟁이 강화돼 수익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반도체 호황이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분석도 여전히 힘을 받고 있다. 모바일과 PC 성장이 주춤하고 있지만 데이터센터와 서버용 메모리 반도체의 안정적인 성장으로 수요 안정성은 오히려 더 높아졌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지난해 글로벌 시가총액 1~6위는 애플, 알파벳, MS, 아마존, 페이스북, 텐센트 등 정보기술(IT) 업체가 차지했으며 이들은 플랫폼 확장을 위해 초대형 데이터센터와 서버 수요를 지속적으로 늘려나가고 있다. 자율주행차와 로봇 등 인공지능(AI) 산업 관련 수요 증가도 반도체 호조 장기화 전망에 힘을 보탠다.

반도체 시장도 매년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21.5% 증가한 4118억달러를 기록했다. 반도체 매출은 전세계 국내총생산(GDP)총액의 0.5%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홍성일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팀장은 “반도체 호조가 꺾일 것이란 우려가 매년 반복되고 있지만 IT가 강세를 보이는 글로벌 흐름, 자율적 성장을 이어가는 반도체 수출 흐름을 고려하면 그 기세는 쉽게 꺾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 팀장은 “다만 중국 추격 등 변수가 상존하는 만큼 반도체에 계속 의존할 수만은 없다”며 “대비책이 될 수 있는 선박 등 주력 수출 품목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지원과 규제 완화 등 정부 정책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