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 이미지<출처=(cc) zcopley at flickr>

[이뉴스투데이 여용준 기자] 최근 국내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에서 350억원 가량이 해킹당한 가운데 거래소의 보안 수준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가상화폐 거래소에 대한 보안은 통일된 가이드라인이 없이 각 협회 별로 가이드라인을 정해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고객 자산과 거래사이트 자산의 분리 보관’이나 ‘보유자산의 70% 이상을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보안장치에 보관’하는 것 외에는 별 다른 장치가 없다. 심지어 이 역시 제대로 된 규제나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업계에서는 자율적인 규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과 고객들에게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통일된 규제와 그에 따른 제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다. 

A거래소 관계자는 “거래소 보안이 협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안’은 기본적으로 아무리 해도 부족한 것이다. 거래소를 운영하고자 한다면 이 때문에 거래소 보안에 대한 정부 규제를 마련한다는 것은 산업에 발목을 잡는 규제를 추가하는 것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B거래소 관계자는 “가상화폐라는 것은 부동산이나 증권과 다름없는 ‘투자’다. 그런데 유독 가상화폐에 대한 규제만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며 “해외처럼 시장이 활성화 될 수 있게 독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C거래소 관계자는 “현재 협회 별로 마련된 기준에서 획일화 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려고 하면 자칫 업계에 혼선이 생길 수 있다”며 “이 때문에 보안에 허점이 생겨 ‘제2의 빗썸사태’를 만들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현재 국내에는 한국블록체인협회와 한국블록체인산업진흥협회,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블록체인금융협회, 블록체인벤처협회 등이 설립돼있다. 

이처럼 자율 규제를 강조하는 주장이 있는 반면 빗썸 사태 이후 추락한 인지도를 회복하기 위해 구체화 된 규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D거래소 관계자는 “거래소에 대한 불신이 쌓이면 자칫 산업 전체가 위축될 수 있다”며 “여러 업체들이 생기고 새로운 코인이 등장하고 있지만 생태계 전반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거래소들이 보안을 의무적으로 강화할 수 있도록 규제나 피해 보상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를 위해 가상화폐에 대한 제도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E거래소 관계자는 “규제 강화나 피해 보상 등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가상화폐의 성격을 정의내리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런데 이에 대해 정부가 너무 소극적으로 움직이고 있어 답답하다”고 전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지난달 해킹 피해를 입은 가상화폐거래소인 코인레일과 빗썸에 대한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KISA에 따르면 올해 초 21개 거래소를 중심으로 정보보안 실태를 점검했으며 이때 빗썸과 코인레일은 각각 보안수준 점검 및 보완권고 조치를 받았다. KISA는 코인레일의 경우 권고 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혔으며 빗썸은 조치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