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김은지 기자] 18일 5세대(5G)이동통신 주파수 경매가 종료되면서 이동통신 3사가 5G 통신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글로벌 장비업체 선정으로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미국 정부가 국가 안보를 이유로 화웨이의 자국 진출을 철저히 봉쇄 중인 가운데 최근 호주에서도 화웨이의 5G 이동통신망 장비입찰 참가가 금지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국내 통신사의 화웨이 장비 채택 여부에도 이목이 쏠리는 상황이다. 

지금까지 화웨이 기지국 장비는 LG유플러스만이 채택했지만 5G 시대를 맞아 SK텔레콤과 KT도 망 구축을 위해 화웨이 장비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대체적이다. 

SK텔레콤과 KT는 4G LTE와 관련 삼성전자와 노키아, 에릭슨의 제품을 병용하고 있고 LG유플러스는 이들 통신장비 업체에 더해 화웨이 장비도 사용하고 있다. 다만, 2013년 LG유플러스는 용산 미군 기지 근처에 화웨이 장비를 쓴 기지국을 두지 않겠다는 조건으로 이를 추진했다. 주한 미군 정보를 유출할 수 있다는 미 정부의 우려를 의식한 데 따른 것이다. 최근 호주 정부가 화웨이 장비 도입을 반대하는 이유도 화웨이가 통신장비에 백도어(Backdoor) 프로그램을 설치해 중국으로 데이터를 유출 할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려있다. 

각사의 주파수 양과 대역 위치가 정해진 만큼 이동통신 3사는 오는 9월까지 장비 업체 선정을 마무리하고 10월부터는 본격적인 5G망 설비 구축에 들어갈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통신장비 선정 각축전이 화웨이와 국내 시장 40%를 점유한 삼성전자 간의 2파전이 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통신 3사는 지난해 말과 올해 초에 걸쳐 화웨이와 삼성전자, 노키아, 에릭슨 등 글로벌 통신장비 제조사에 5G 장비와 관련 제안요청서(RFP)를 보냈다. RFP에는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 협력 기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 기반의 5G 상용시스템 요구사항이 포함됐다. 구체적으로는 당시 결정된 NSA(Non-Stand Alone)표준을 따르고 향후 결정될 SA(Stand Alon)표준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지난해 12월 승인된 '5G+LTE 복합(NSA)' 규격이 기존 네트워크(LTE)와 5G 기술을 융합해 최상의 성능을 발휘하는 데 초점을 뒀다면 최근 승인된 5G 글로벌 표준은 이동통신 데이터 송·수신 모든 영역을 5G로 처리하는 '5G 단독(SA)' 규격을 포함했다. SA규격은 LTE네트워크와 연동 없이 5G네트워크 만으로 데이터를 전송 가능하다. 

화웨이는 최근 글로벌 기업들과 SA 표준을 완성하는 등 5G 망 구축 황금 주파수 대역인 3.5㎓ 통신 장비와 관련 선도업체로 꼽히며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화웨이는 경쟁 업체보다 30%~40%가량 저렴한 통신 장비 단가와 기술력을 내세워 지난해 기준 글로벌 통신장비 시장 점유율 28%를 기록했다. 통신장비뿐 아니라 칩셋부터 단말까지 5G 상용화와 관련 투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화웨이는 지난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에서 세계 첫 상용 모바일 5G 칩셋인 '발롱 5G01'을 선보였고 올해 하반기 이 칩셋을 탑재한 5G 스마트폰을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화웨이 장비 도입 여부에 이목이 쏠리는 데는 3사가 5G 전국망 구축을 위해 수년간 인프라 비용으로 20조원 이상을 쓸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정부의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에 따라 무선 수익이 하락한 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돈을 아껴야 하는 통신사 입장에서는 보안 이슈에도 불구하고 기술력과 가성비를 내세운 화웨이 장비 도입을 고심할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화웨이 측은 보안 문제와 관련 자사 통신장비 도입을 꺼리는 분위기 조성에 대해  "화웨이는 철저한 사이버 보안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문제 제기 받은 사안은 한 번도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현재 화웨이 제품과 솔루션은 전 세계 주요 이동통신사, 포춘(Fortune) 500대 기업 및 170여 개 이상 국가의 고객과 소비자들이 사용 중이다. 

이동통신업계는 화웨이 장비 도입에 대해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는 "여러가지 사안을 감안해 장비업체를 선정하겠지만 RFP를 보내고 업체 선정에 들어간 과정에서 매우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며 "현재로서는 여러 절차에 맞춰 업체선정 마무리와 망 구축 등에 들어가고 내년 3월 상용화 서비스에 문제가 없도록 준비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정책국장은 "정부 예측으로는 오는 9월 시험 인증표준이 완성되면 각 장비업체가 이를 신청하게 되고 이후 준비 정도를 정확히 알 수 있으리라 생각되지만 주파수가 교부되는 12월 1일 정도면 어떤 업체도 특별한 경쟁 우위가 있다고 보기 어려울 만큼 (국내 업체의) 준비가 잘 돼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