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경기도 판교 시공미디어 사옥에서 인공지능(AI) 개발 기업 대표들과 만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뉴스투데이 여용준 기자]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인공지능(AI)과 융합 등 새로운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성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정작 중소기업들과 스타트업은 인력 부족에 허덕이고 있다. 인재 육성을 위한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교육체계 마련과 중소기업의 인재 채용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4일 판교에 위치한 시공미디어에서 AI 개발 스타트업·중소기업 대표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대표들은 하나같이 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토로했다. 

지능형 CCTV를 개발하는 인텔리빅스의 유명호 대표는 “대기업들은 기술인력을 키워내는데 어려움이 없지만 중소기업들은 인력을 데려오는게 어렵다”며 “전문적으로 가르칠 교수나 학과도 별로 없고 인력을 키워놓아도 대기업이나 중국에 다 빼앗길 처지”라고 말했다. 

AI플랫폼 기업인 솔트룩스의 신석환 부사장은 “AI 개발자를 찾는 일은 정말 어렵다”며 “훈련과 인력양성 인프라를 전문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교육 관련 AI를 개발하는 시공미디어의 박기석 대표 역시 “자금도 자금이지만 인재가 더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인력에 대한 문제는 교육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이성환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는 “정부에서 AI분야에 특화된 인재를 빠른 시간 안에 키울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15일 ‘인공지능 R&D 전략’을 통해 5000여명의 AI 인재를 양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먼저 내년에 AI대학원을 신설하고 이를 2022년까지 6개로 확대해 원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최고급 연구인력을 2022년까지 1200명 규모로 양성할 계획이다.

또 AI 프로젝트형·실무인재 교육 등을 통해 신제품‧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데이터 활용 중심의 융복합 인재를 2022년까지 3600명 규모로 양성한다는 방침이다.

김용수 과기정통부 2차관은 “정부는 민간에서 투자가 어려운 공공분야와 고위험·차세대 분야의 기술력 확보에 집중하는 한편, AI 대학원 신설 등을 통해 우수 인재 양성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융합연구개발 분야에서도 인력난은 마찬가지다. 지난달 24일 경기도 광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에서 열린 ‘제3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안)’ 공청회에서는 청년과학기술인들이 융합에 대한 교육과 기회 제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단비 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선임연구원은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융합에 대해 교육을 하면 2~3개의 개별 학문을 얇게 배우는 수준에 그친다”며 “이는 진정한 융합으로 작용하기 어렵다. 융합 그 자체로 깊게 배울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개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상국 비닷두 대표는 “대학원생들이 주도로 할 수 있는 과제가 거의 없다”며 “대학원생들은 융합연구에 가장 의욕이 많은 사람들이다. 이들에게 더 많은 기회가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4월 한국화학연구원·한국생명공학연구원·한국생산기술연구원·한국항공우주연구원·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등과 손잡고 인재양성과 청년 채용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또 4대 과학기술원과 포스텍 등에 무(無)전공·무학과 제도를 도입한다. 카이스트는 이에 따라 융합기초학부를 통해 융합형 인재를 양성한다. 융합기초학부 학생들은 2학년이 될 때 희망자에 한해 이론과 세미나, 실험, 연구, 인턴십을 연계하는 맞춤형 교육을 받는다.

포스텍은 ‘무은재 새내기학부’를 운영한다. 이들은 입학 뒤 3학기까지 학과를 알아볼 기회를 얻고 희망자에 한해 학과나 학부 없이 수업을 들을 수 있다. 

이밖에 광주과학기술원과 울산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도 제도를 변경하거나 이미 무학과 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같은 무전공·무학과 제도를 통해 매년 1000명의 융합형 인재가 양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과학기술원 4차인재위원회를 통해 이공계 교육의 선도모델을 지속적으로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와도 긴밀히 협의하여 과학기술원의 선도모델을 일반대학으로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