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수원이 영농형 태양광의 쌀 수확률을 측정한 결과 일반농지 대비 86%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태양광 발전설비로 인한 토지이용 제한 문제를 해결한 영농병행 태양광 발전소.<사진제공=한수원>

[이뉴스투데이 유준상 기자] ‘영농형 태양광사업’이 입지와 제도의 제약으로 국내 유치에 난항을 격고 있는 신재생 발전사업과 침체에 빠진 농업계의 구원투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영농형 태양광사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할 계획으로, 이를 통해 농업 종사자의 고령화와 규모의 영세화를 겪고 있는 농업계가 태양광발전 추가 수익으로 수입 안정을 꾀하고 전력 수급을 확보하겠다는 복안이다.

영농형 태양광발전이란 '기존 영농기법 그대로 벼농사를 지으면서 상부에 태양광발전 설비를 설치하는 발전'을 말한다. 에너지공단과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 등 유관 기관들도 사업 안정화를 위해 데이터 취합과 효율성 연구에 나서고 있다.

한 에너지공단 관계자는 25일 “일반적으로 태양광 모듈을 지면에 설치하면 그 부지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한다”면서 “하지만 일반농지에 지면으로부터 3~4m 이격 거리를 올려서 모듈을 설치하는 것은 가능해 농사와 발전을 동시에 함으로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유관 기관에 의해 영농형 태양광을 통한 ‘수확량’와 ‘전력 생산’ 동시 확보가 충분히 가능다는 게 입증됐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한수원은 지난해 6월부터 가평군 청평수력발전소 주변 1988㎡(600평) 규모의 농지에 375W 태양광 패널 4개를 설치해 쌀 수확률을 측정했다. 그 결과 같은 면적의 일반농지 대비 86%의 수확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수원 관계자는 “태양광 노출 시간 65% 이상만 되면 농작물의 광합성 조건을 충족해 발전기 그림자가 이동하며 농작물을 덮는 시간이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며 “실제로 지면에 세운 기둥 면적만큼만 수확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영농형 태양광으로 발전 효과도 톡톡히 본 것으로 나타났다. 한수원에 따르면 1988㎡(600평) 부지에 375W 패널 4개를 설치, 7만3125㎾ 용량의 발전소를 가동한 결과 발전량은 △2017년 6월 8612kWh △7월 7499kWh △8월 7883kWh △9월 8574kWh △10월 7265kWh △11월 6339kWh △12월 6019kWh △2018년 1월 5698kWh를 기록했다.

한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한 가구당 300kWh의 전력사용량을 기록하는 점을 참조하면 전력피크철인 여름 한 달 발전량(8000kw)으로 26가구가 한 달간 쓸 수 있다”며 “국내 농가 1가구당 평균 500평의 농지를 확보하고 있어 전력 수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더욱이 발전수익이 침체 위기에 빠진 농가를 일으킬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긍정적 전망이 나온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최근 발표한 ‘2018~2022년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농발계획)’에 따르면 2022년 곡물자급률(사료용 포함) 목표치를 27.3%로 제시했다. 기존 목표치 32%에서 4.7%p 낮춘 것이나 실제 농사 종사자들은 현장에서 체감하기로는 새롭게 제시한 목표치마저 달성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한수원 측정 결과 영농형 태양광 발전량 5698kWh당 이용률 10.49%, '전력시장가격(SMP)' 52만6000원, '신재생에너지 공인인증서(REC)' 59만2000원의 성과를 냈다. 이는 REC 판매 등 사업화를 통해 2배가 넘는 농가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수원 최동희 신재생운영팀장은 “600평 부지에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해 얻는 한달 전력판매수익은 250만원이다. 해당 부지 벼농사 이윤과 맞먹는 금액”이라고 설명했다.

영농형 태양광 사업은 이미 일본과 독일에서 그 성공 가능성이 입증되면서 국내에서도 남동발전, 한수원, 솔라팜 등 여러 기업들이 해외수출을 염두에 둔 기술발전과 실증사업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국토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있는 장점은 협소한 국토로 인해 야기된 ‘부족한 전력 수급’과 ‘침체된 농업계’를 회복시킬 구원투수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실젤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농지 등 경지면적은 162만1000ha로 전체 국토면적의 약 16%에 해당하는 큰 비중이다.

농민 설득은 넘어야 할 산이다. 에너지업계 전문가는 “영농형 발전사업의 가장 큰 과제는 사업 주체인 농민들의 거부감 해소”라며 “사업 안정화로 설치‧공사비를 다운시켜야 하고 그간 에너지공기업들과 발전 설비 유치 과정에서 빚은 갈등으로 깊어진 주민들의 감정의 골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