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유준상 기자] 2018년 5월~7월 경기도 내 아파트 입주물량과 비슷한 수준의 아파트 임차계약 건이 만료될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정보 서비스 ㈜직방은 국토교통부의 아파트 입주예정물량과 2016년 5월~7월 경기 전월세 계약건수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2018년 5월~7월 입주물량은 4만8658호, 계약만료 추정 물량은 4만8676건(실거래가 공개건수 기준)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지역별 입주물량은 용인시가 한숲시티 6725호를 포함해 가장 많은 9784호의 입주 예정돼 있다. 화성시는 동탄2신도시 등의 아파트 입주가 이어지면서 6826호가 예정돼 있다. 한숲시티가 행정구역상으로는 용인시에 속해 있지만, 동탄2신도시 동남부에 위치해 있어 화성시에 공급부담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외 경기도 서북권인 파주시(4954호), 김포시(3799호), 고양시(2252호)에 총 1만1005호의 입주가 예정돼 있다.

2018년 5월~7월 계약 만료가 예상되는 2016년 5월~7월 계약한 아파트 전월세는 인구 밀집지역인 성남, 고양, 용인에서 4000건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성남시를 제외하고는 아파트 입주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지역이다. 그 외 2051호의 신규아파트가 입주예정 돼있는 남양주시도 3341건의 아파트 임차 계약 만료시점이 다가오고 있다.

입주물량이 집중돼 있는 경기도 서북권의 김포와 파주도 계약만료 임차건이 각각 2000건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김포시는 2896건, 파주시는 2155건이다. 이를 고양시와 합칠 경우 경기 서북권은 1만건에 육박하는 9824건의 임차계약 만료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외 양주신도시가 건설되는 양주시와 인접지역인 의정부, 미사지구와 위례신도시가 속한 하남시, 최근 아파트 공급이 많았던 평택시 등 각지에서 1000건 이상의 계약만료가 예측되고 있다.

아파트 입주와 함께 전월세 계약만료 추정물량이 많은 지역들은 신규 아파트로의 수요분산 영향으로 기존 아파트들의 임차인 구하기가 더 어려워 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임차수요에 비해 임대공급이 크게 늘어나는 지역은 전세가격 하락에 대한 위험 노출과 집주인들의 보증금 반환에 대한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경기도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1.48% 하락했다. 이는 울산 -2.41%, 경남 -1.99% 다음으로 낙폭이 크다. 경기도내 지역 중 가격 하락이 나타나지 않은 곳은 의왕, 여주, 과천, 이천 4곳으로 그 외 지역은 모두 아파트 전세가격이 하락했다.

2018년 아파트 전세가격이 많이 하락한 지역은 경기 남부지역으로 오산 -6.94%, 평택 -4.63%, 안성 -4.14%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5~7월 아파트 입주물량이 많은 화성 -2.56%, 용인 -1.15%로 마이너스 변동률을 보였다. 

국토부가 발표한 2018년 5월~7월 경기도에 입주하는 아파트는 4만8658호다. 같은 기간 아파트 임차계약이 만료될 것으로 추정되는 건수도 4만8676건으로 조사됐다. 새 아파트의 입주로 인해 전세 공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기존 아파트의 전세가격 하락 가능성이 더 커지고 있다.

2018년 들어서 경기도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일제히 하락하면서 약세가 나타나고 있다. 아파트 입주가 늘어나는 가운데 임대차 계약만료 물량이 많은 곳은 세입자들의 선택지가 넓어지면서 전세가격 안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세입자들은 금리인상으로 금융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어 집주인들의 전세금 인상을 수용하기가 쉽지 않아졌다. 저금리 하에서 전세금 인상분의 금융 비용이 이사나 중개비에 비해 부담이 적어 전세금 인상을 수용했던 세입자들도 금리인상 시기에 금융비용 부담이 높아지면서 전세금 인산에 대한 거부감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새 아파트의 증가와 임대차 계약 만료, 금리인상이 단기간 내에 끝나지 않고 장기간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아파트 임대료 및 보증금의 하향 안정세는 올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 수 있다. 또한 기존 아파트 임대 시장이 공급 증가와 함께 약세로 전환된 만큼 새 아파트의 임차인 유치도 더 어려워지면서 수분양자들의 잔금 확보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