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이 열리는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

[이뉴스투데이 이세정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오전 9시 30분 판문점 군사분계선(MDL)에서 만나 첫 악수를 하면서 '2018 남북정상회담'이 시작된다.

한반도 평화와 공존의 운명이 걸린 이번 회담은 역사상 3번째 남북정상회담이자, 남측에서 열리는 첫 회담이다.

남북 정상은 육·해·공군 의장대 사열 등 공식 환영식을 갖는다. 지난 2000년 김대중 대통령, 2007년 노무현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했을 때에도 두 정상은 북한 의장대를 사열한 바 있다.

공식 환영식을 마친 두 정상은 양측 공식 수행원과 인사를 나눈다. 우리 측에서는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송영무 국방부 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 정경두 합동참모의장 등 7명이 참석한다.

북측에서는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영철 당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최휘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리수용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김여정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리명수 총참모장, 박영식 인민무력상, 리용호 외무상,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등 9명이다.

이후 두 정상은 도보로 회담장인 '평화의 집'으로 이동한다. 김 위원장은 1층에서 방명록에 서명하고 문 대통령과의 기념 사진을 찍는다. 이후 2층에 위치한 회담장으로 이동해 오전 10시 30분부터 정상회담을 시작한다.

오전 회담이 끝나면 두 정상은 별도의 오찬과 휴식시간을 갖는다. 북측은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측에서 오찬을 한 후, 오후에 다시 돌아온다.

두 정상은 오찬 뒤 평화와 번영을 기념하는 소나무 한 그루를 공동식수하고 친교 산책을 한다. 

기념식수 장소는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이 소 떼를 몰고 방북했던 군사분계선 인근의 '소 떼 길'이며, 기념 수목은 정전협정이 체결된 1953년생 소나무다. 기념식수용 흙은 한라산과 백두산의 흙을 함께 섞어 사용하고 식수 후 문 대통령은 대동강물을, 김 위원장은 한강 물을 뿌린다.

식수 표지석에는 '평화와 번영을 심다'라는 문구와 함께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서명이 새겨진다.

공동식수를 마친 뒤에는 군사분계선 표식물이 있는 '도보다리'까지 담소를 나누며 걷게 된다. 유엔군사령부에서 풋 브리지(FOOT BRIDGE)라고 부르던 것을 그대로 번역, 도보다리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됐다.

이후 두 정상은 오후 회담을 이어가고, 정상회담을 모두 마치면 합의문 서명과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양측은 합의 내용과 수준에 따라 발표 방식과 장소를 결정하기로 했다.

오후 6시30분부터는 평화의 집 3층 연회장에서 환영 만찬이 시작된다. 만찬 메뉴는 남해 통영바다의 문어 냉채와 스위스식 감자전, 신안 민어해삼편수, 부산 달고기구이, 서산 목장의 한우부위별 구이, 김해 봉하마을 쌀과 DMZ 산나물로 만든 비빔밥과 쑥국, 도미찜과 메기찜 등이다. 북측에서는 평양 옥류관 냉면을 준비할 것으로 알려졌다.

두 정상은 만찬이 끝나면 판문점 평화의 집 전면을 스크린으로 활용해 동영상을 감상하는 환송행사에 참석한다. 영상의 주제는 '하나의 봄'으로, 한반도의 과거와 현재, 미래 평화를 다뤘다.

영상 시청을 끝으로 2018 남북정상회담의 공식적인 일정은 종료된다.

이번 회담의 주요 의제로는 ▲한반도 비핵화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남북관계 진전 등 3가지가 추려진다.

이 중 정부가 가장 심혈을 기울이는 부분은 비핵화다. 이번 회담이 북핵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5월 말이나 6월 초 개최 예정인 '북미정상회담'의 길잡이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북한은 회담 일주일을 앞두고 열린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풍계리 핵실엄장 폐쇄와 핵실험·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중단 결정을 내리는 등 비핵화를 위한 긍정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다만 비핵화 방법론에 대한 북미간 입장차가 큰 상황이고, 체제 안전 보장과 대북 군사적 위협 해소 등은 남북이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때문에 비핵화 의지를 천명하는 수준의 합의를 할 것이라는 게 지배적인 시각이다.

두 정상은 남북간 군사적 긴장완화 조치 등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에 이번 회담의 무게중심을 실을 전망이다.

구체적으로는 비무장지대(DMZ) 중화기와 경계 초소(GP)를 후방으로 배치하거나 남북 감시소초(GP)를 조정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이는 남북이 합의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고 실리적인 긴장완화 조치라는 평가를 받는다.

아울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축복한다고 전한 남북간 '종전 논의'도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방안으로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

이번 회담에서는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재개 등 경제협력 문제보단 대북제재와 관련이 적은 이산가족 상봉이나 남북회담 정례화 등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