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LNG발전업계가 역마진에 시달리며 고충을 겪고 있다. 이에 세금인하, 전력산업기반기금 등 LNG발전 제도적 지원책과 가스공사보다 저렴하게 연료를 수입할 수 있는 천연가스 직도입의 활로를 열어줘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사진은 천연가스 평택생산기지 전경. <사진제공=한국가스공사>

[이뉴스투데이 유준상 기자] 문재인 정부가 화석연료와 원자력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와 LNG발전 비중을 늘리는 에너지정책 전환으로 LNG업계가 활황세 관측에 무게가 실렸다. 하지만 전기를 생산할수록 손해를 보는 ‘역마진’을 겪고 있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6일 에너지업계 및 LNG발전사 등에 따르면 발전회사가 가스공사로부터 공급받는 연료비는 90~100원/kWh 수준이다. SMP(전력도매가격)가 발전원가보다 낮게 형성되면서 전기를 생산할수록 손해를 보는 ‘역마진’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SMP는 전기 1kWh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전기생산비용으로, 각 발전사가 생산한 전기를 한국전력공사가 사들이는 가격 단위를 말한다.

포천파워, 동두천드림파워, 에스파워, 포천민자발전 등 LNG발전기를 보유한 대다수 민간발전사들이 역마진 현상으로 적자 폭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동두천드림파워는 지난해 531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2015년 발전소 가동 이후 적자가 지속되면서 누적적자는 913억원에 달한다.

포천파워도 지난해 85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2016년 444억원의 손실을 내는 등 최근 3년간 누적적자는 658억원에 이른다. 에스파워와 포천민자발전 비슷한 상황이다. 에스파워는 2016년 191억, 2017년 88억원의 손실을 냈다. 지난해 9월 상업운전을 시작한 대우건설의 포천민자발전(940㎿) 역시 307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익명을 요구한 LNG발전사 한 관계자는 “해외 직도입으로 한국가스공사보다 연료를 싸게 구입하거나 한전과 전력구매계약(PPA)을 맺고 있는 회사 이외에는 심각한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LNG발전사가 문을 닫게 되면 ‘피크 전력’에 대비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LNG발전사들은 적자를 야기하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전력거래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한다. SMP가 하락하면서 올해는 88~90원/kWh 정도 수준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발전회사가 가스공사로부터 공급받는 연료비는 90~100원/kWh 수준으로, ‘구매비가 판매비보다 더 비싼’ 상황이다. 즉 SMP가 발전원가보다 낮게 형성돼 전기를 생산할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라는 이야기다.

이에 LNG 발전사는 SMP 대비 연료비 손실이 발생하는 정산요금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전력당국은 쉽게 손을 댈 수 없는 문제라고 소극적 자세를 취하고 있다. SMP가 인상될 경우 한전의 전력구입비가 늘어나게 돼 재정위기에 시달리는 한전의 적자난을 더욱 부추길 수 있고, 이는 전기요금 인상요인이 된다는 이유에서다.

LNG발전사의 ‘역마진’이 지속된다면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LNG발전 37%확대 달성’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업계에서는 동두천드림파워, 포천파워, 에스파워 등 적자난에 시달리는 민간발전사들에게 한시적PPA를 허용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PPA란 발전사업자가 한전에 생산한 전기를 판매하기 위해 맺는 계약으로, 한전이 발전소를 건설하는 비용을 대신해 발전사업자에게 전력 생산 비용을 지급하는 제도다.

현재 한전과 PPA를 체결한 발전소는 ▲GS EPS 당진 1호기(2021년 종료) ▲GS파워 안양, 부천(2018년 8월 종료) ▲포스코에너지 3호기(2018년 10월 종료) ▲포스코에너지 4호기(2020년 종료) ▲CGN율촌복합 1호기(2025년 종료) 등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SMP가 상승하는 현실에서 PPA 적용을 받는 회사는 그나마 나은 상황”이라며 “고효율 발전기를 적용하고 있는 발전사들에게 특정 기간 동안 최소발전용량의 상향 조정 등 한시적으로 PPA를 허용해주면 한전에 부담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력시장 수익구조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 외에도 ‘용량요금 확대’, ‘LNG 세금인하’, ‘전력산업기반기금’ 등 LNG 발전 제도적 지원과 저렴하게 연료를 수입할 수 있는 천연가스 직도입의 활로를 열어주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