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이 3일 앞으로 다가온 27일 오후 역사적인 남북정상의 만남을 전 세계에 알릴 경기도 고양 킨텍스 프레스센터에서 관계자들이 마지막 점검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김민석 기자]남북정상회담을 이틀 앞둔 25일 시장 전문가들은 경제협력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보다는 가치주 찾기에 집중할 때라고 입을 모았다.

또 독일 통일 선례를 보면 주가는 통일보다 앞서 상승할 수 있으며 외국인 자금 유입과 금리 상승 등이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조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북한의 태도가 기존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코리아 디스카운트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며 "그러나 한국은 국가 리스크 프리미엄 자체가 매우 낮고 정책 리스크 점수 역시 양호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코리아 디스카운트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정학적 요인보다는 기업 지배구조와 상대적으로 큰 이익 변동성에서 기인하는 바가 크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아시아 기업지배구조 협회(AGCA)에 따르면 한국의 기업지배구조 순위는 아시아 11개국 가운데 하위권인 8위에 불과했다.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의 순위가 한국보다 앞섰다.

조 연구원은 "2017년 심화하던 북한 리스크가 경감하는 만큼 여타 증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리한 조건이 형성됐다"면서도 "정상회담 이벤트가 국내 증시에 의미 있는 변곡점을 만들어 줄 것이라는 기대치는 다소 낮출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도 대북 테마라는 모멘텀 속에서도 가치주를 찾아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채 연구원은 "남북회담 개최에 앞서 남북관계 개선과 경제협력의 기대감에 현대건설, 한라, 한일시멘트, 쌍용양회 같은 건설과 시멘트주가 시장수익률을 상회(outperform)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남북긴장 완화로 건설업종이 단기 과열 상승한 감이 있다"며 "분명 장기적 호재일 가능성이 있지만 지루한 협상 속에서 느슨해지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메리츠종금증권은 23일 보고서에서 과거 독일 통일 당시 현지 주식시장은 통일 이슈를 선반영해 한발 앞서 상승 흐름을 보였다고 소개했다.

이진우 연구원은 "독일 주식시장은 공식적으로 통일되기 전부터 상승했는데 1988년부터 진행된 소련의 입장 변화가 그 가능성을 높였기 때문"이라며 "베를린 장벽이 붕괴한 1989년 11월 이후 주가는 다시 한 번 강하게 올랐지만 정작 통일이 공식화한 1990년 10월 이후에는 통일비용 우려 등의 영향으로 큰 폭으로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다만, 통일 이후 독일 주가는 장기적으로는 우상향 흐름을 보였다"며 "통일에 가까워질 수 있는 변화가 시작되면 국내 금융시장도 (기대감을) 선반영해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 금융시장에서 중요한 것은 통일뿐만 아니라 기대감"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또한 통일 이후 독일 주식시장에 빠르게 외국인 자금이 유입됐다며 국내 주식시장에도 비슷한 흐름을 기대했다.

이 연구원은 "1990년 194억 마르크였던 독일시장의 외국인 포트폴리오 투자는 1997년에는 1559억 마르크로 급증했다"며 "국내 역시 통일을 계기로 외국인 자금 유입을 기대해볼 만하다. 다만, 관련 정책이 단시일 안에 구체화하지 않으면 액티브보다는 패시브 형태 자금 유입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금리의 경우 통일비용 관점에서 한 단계 오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봤다.

이 연구원은 "독일 통일 당시 관련 비용 충당을 위한 대규모 국채 발행으로 국채금리가 7%대에서 9%로 급등했다. 남북한은 당시 동·서독보다 경제적 격차가 더 크기 때문에 금리 상승 폭은 독일보다 클 수 있다"며 "이 경우 금리 상승에 취약한 배당주에 대한 매력도가 낮아질 수 있고 기업 입장에서도 희비가 엇갈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통일 수혜는 인프라 개발뿐만 아니라 금융업종에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독일 통일 전에는 현지 주식시장에서 음식료와 건설, 산업재 업종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는데 통일 이후 3년간은 은행과 보험 등 금융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민간투자 지원정책 등으로 금융수요가 확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통일을 통한 '디스카운트 해소' 효과는 독일의 경우 기업 실적 개선세가 시작된 1993년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났다"며 "통일 자체가 당장 디스카운트 해소와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을 의미하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