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김영학 기자] 이진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16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을 주제로 소재분야 산학연 전문가와 간담회를 개최했다. 

미래소재란 미래 신산업 창출과 혁신기술 개발의 기반이 되는 소재,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헬스케어, 환경·에너지, 안전 분야 등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의 핵심영역을 뒷받침할 원천소재를 말한다.

과기정통부는 ‘4차 산업혁명 경쟁의 원동력이 미래소재’라는 인식 하에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을 마련 중이다.

한국은 소재·부품특별법이 제정된 2001년부터 소재 응용·개발 연구에 집중 투자해 소재산업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했다. 기초·원천연구에는 투자가 미흡해 일부 핵심 첨단소재는 해외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 환경·에너지, 바이오 등 첨단산업 분야의 소재 원천기술 수요와 건강, 안전 등 공공수요에 필요한 핵심 원천소개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현장 의견을 수렴해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100여명의 소재 전문가 그룹을 만들어 초연결, 초고령, 지속가능 환경, 안전 등 4대 메가 트렌드에 핵심적으로 필요한 30대 미래소재를 도출했다. 

과기정통부는 도출된 미래소재의 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도전형, 경쟁형, 지식 크라우드형 R&D 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다. 

간담회에 참여한 산학연 전문가들은 미래소재가 4차 산업혁명이 경쟁을 촉발하므로 선제적으로 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진규 제1차관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로 촉발되는 초연결 분야와 헬스케어, 환경·에너지, 안전 등 산업 전 분야에 걸쳐 혁신적인 미래소재 기반 없이는 4차 산업혁명 경쟁에서 뒤쳐질 것”이라며 “4차 산업혁명 경쟁은 소재경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진규 제1차관은 “첨단소재 핵심기술 연구는 장기간 소요되며 성공가능성도 낮지만 개발이 성공할 경우 새로운 시장진출과 시장독점이 가능한 분야”라며 “연구자들의 시행착오 최소화로 개발기간을 줄이고 개발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소재연구 인프라 구축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