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서정근 기자] 정부가 스마트공장을 확산, 오는 2020년까지 7만5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하고 이의 달성을 위해 관련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 지원에 나선다.

4차산업혁명위원회(이하 위원회)는 8일 서울 광화문KT 12층 회의실에서 제5차 회의를 개최하고, '스마트 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과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 전망' 등 안건을 논의했다. 

스마트공장은 불량률 감소, 납기단축 등으로 기업 성과와 효율을 향상시키고 최저임금 인상 및 근로시간 단축 등 변화하는 노동환경에 대응해 중소기업 일자리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대안으로 각광받아왔다. 위원회는 지난 1월부터 '스마트공장 TF'를 운영, 민간전문가와 정부부처간 협업을 통해 스마트 공장 정책방안을 검토하고 산업경제 혁신위의 심의를 거쳐 전체위원회에 상정했다.

위원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스마트공장 구축기업 2800개를 분석한 결과 ▲생산성 30% 증가 ▲불량률 45% 증가 ▲생산시간 16% 감소 ▲평균고용 2.2명증가 등의 성과를 보였다.  제조현장의 스마트화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구축하고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산업재해율을 22% 낮췄다.

위원회는 "청년 및 여성층의 중소기업 취업 기피현상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스마트공장 보급은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유도하는 새 정부의 선도사업으로, 2022년까지 2만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이라는 국정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이번 전략이 마련됐다. 위원회는 "스마트공장 확산을 통해 공급·구축기업에 일자리 7만5000개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위원회는 스마트공장 확산을 정부 주도에서 민간·지역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 지원, 대기업 지원으로 이원화된 방식에서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모델을 도입할 계획이다.

지자체-지방중기청-TP(테크노파크) 등이 유관기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현장수요를 발굴하는 한편, 스마트공장 구축 우수기업에 R&D, 자금 등 정책수단을 연계 지원하며지역별로 스마트공장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6개 국가산업단지를 확산거점으로 지정·운영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위해 센서·로봇·솔루션 등 요소기술 및 AI·VR 등 고도화기술 확보를 위한 R&D 지원도 강화한다. 업종별·지역별 시범공장(올해 6개→2022년 50개)과 대표공장을 확대해 중소기업이 벤치마킹 하도록 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공장을 구축해 공동 활용을 촉진할 계획이다.

스마트공장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스마트화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기존 생산인력을 스마트공장 운영인력으로 활용하는 재직자 직무전환 교육을 강화하고, 스마트공장 기반기술 개발 및 운영설계 고도화를 위한 석·박사 교육과정을 올해 4개 대학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장병규 위원장은 모두 발언을 통해 "그간 현장에서 기업들이 실제 느끼고 있는 문제점과 애로사항에 집중해 이를 개선·보완하고, 궁극적으로 스마트공장 확산을 통해 생산성 향상,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중소기업의 근로환경 개선 등을 통해 청년이 찾아오는 양질의 일자리가 확대된다는 목표 하에 정책이 마련됐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장 위원장은 "향후 세부적인 과제들이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관계부처, 지원기관, 기업, 지자체 등의 유기적 협업이 중요하며,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도 TF 및 위원회를 통해 주기적으로 이행점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