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이상헌 기자] 정부 원자력 정책에 변화의 조짐이 보이지만, 탈원전 기조를 근본적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일자리 소멸과 고급 인재 유출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5일 본지가 입수한 원자력정책연대 통계 조사를 보면 원자력 발전소 1기 건설에 직접 투입되는 인원만 약 7500명에 이른다. 또 기자재·시공·설계·사업관리업체까지 합할 경우 일자리 감소는 2만9319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연대가 수행한 이번 조사는 정부가 신고리원전 5·6호 건설 중단을 추진하던 당시에 실행된 것으로 원전 2기 수행시 발생하는 매출액을 고용인원으로 환산했다.

또 원도급사의 1차 계약 하도급사만 포함했으며, 2차 이상 하도급사는 제외한 수치여서 2·3차 밴드까지 포함할 경우, 원자력 발전소 1기에 따른 직접 고용인력은 1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60여곳 해외업체에서 종사하는 비율을 2% 미만에 불과하다"며 "우리가 수십 년간의 노력으로 구축한 국산 에너지와 양질의 일자리 산업을 왜 버려야 하느냐"고 비판했다.

*인원 : 참여업체 총 인원에서 원전 2기 수행시 매출비율(추정)을 산술적 적용 **중·소 협력사 : 해외업체(60여개)는 투입인원 비중(약 2%)이 미미하여 별도 구분 않았으며, 원도급사의 1차 계약 하도급사만 포함하며, 2차 이상 하도급사는 포함되지 않음

특히 국내 인력과 기술에 의해 생산되는 것이 원자력 발전이기 때문에 국내에서 기른 고급 인재들의 일자리를 앗아가는 구조가 탈원전의 가장 큰 문제점이라는 지적이다.  

지난해 기준 원전산업계 전체 직접 인력은 3만5000명으로 연관 인력을 고려하면 10만명 이상이 관련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여기에 부양가족까지 합할 경우 30∼40만명의 '삶의 터전'이 사라지는 셈이다.

이와 함께 원전산업 인력의 90% 이상이 중소, 중견기업으로 다품종 소량생산을 특징으로 하는 전형적인 중소기업형 특화산업이기 때문에 관련 학과 학생들의 취업문이 더욱 좁아진 상황이다.

발전소에 취업한 원자력학과를 비롯한 공대 출신의 비율이 20%인 점을 감안할 때, 연구소와 대기업이 아니고서는 더이상 취업할 곳이 없게 된 점에 대해 학생들의 실망이 크다. 

이유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진로를 걱정하는 제자들이 많아지고 있다"며 "한국전력기술 등 관련 연구소까지 합하면 원전 1기가 사라짐에 따라 파생되는 효과는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정책연대 한 관계자는 "원자력이 국내 인력과 기술에 의해 생산되는 국산 에너지"라고 강조하며 "양질의 일자리가 소멸하게 되면서 국내 인재들이 설 곳이 줄어들 것은 자명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고급 인재는 벌써 해외로부터 스카우트 돼 떠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