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흥갑 현대그린 대표가 13일 경기도 수원지법 인근 카페에서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이태구 기자>

[이뉴스투데이 이상헌 기자] "10년을 벌어도 내 집 마련이 어렵다”는 것이 직장인들의 푸념이다.

정부의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집값이 오르다보니 부동산 경매로 서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매는 인류가 가장 오래 전부터 가격을 부과했던 거래 방식이었지만 한국 사회에서는 부자들의 전유물이라는 부정적 인식이 팽배했다. 하지만 정보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부동산 시장의 한 축을 차지하게 됐다.

전흥갑 현대그린 대표(사진)는 "경매와 공매는 일반 매매와 달리 법률 지식과 경험을 바탕한 전문성이 필요한 분야이긴 하지만, 제대로 된 물건을 싸게 사는 기본 원리는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보의 홍수 속에서 진흙 속 진주를 찾아내듯 잠재력 있고 가치 있는 물건을 고객이 합리적 가격으로 낙찰 받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원지방법원에서 20여년 활동해온 전 대표는 금융과 부동산 실무를 겸비한 업계의 에이스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18개의 경매계를 운영하는 수원지법은 하루에도 30~40건의 경매 물건이 쏟아지는 전쟁터다.

고객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그에게 복잡한 권리사항 점검은 물론 발로 뛰는 현장 조사는 기본이다.

전 대표는 "100원의 차이로도 낙찰에 실패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매물을 선별하기 위해서 뛰고 있다"며 "결과가 고객의 미래가치로까지 이어질 때 뿌듯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어 부동산업계 최대 이슈인 8·2 부동산 대책과 관련, "주택담보대출 부문에서는 타격이 있을 수 있으나, 경매시장에서는 알짜 물건이 등장할 가능성은 오히려 더 커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무수익자산(NPL)을 활용한 채권 인도 방식으로 입찰에 참여할 경우 양도소득세를 부담할 필요가 없어 임대사업자 전환을 고려 중인 다주택자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전 대표는 "대출 금리 인상으로 집 잃는 사람이 생겨나는 현상부터 눈여겨 봐야 한다"며 "현금 자산이 많은 부자들은 돈을 빌려 집을 사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총부채상환비율(DSR) 적용 대상에서 전세를 뺀 것은 잘 한 정책이라는 평가다. 그는 "생활비 벌기도 빠듯한 서민이 매달 130~180만원에 달하는 원리금을 갚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정부의 대책으로 65만호 상당의 공공임대주택 공급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일부 지역에서 미분양 사태가 발생하는 등 서울-지방 간의 부동산 양극화가 우려가 일고 있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의 경매 낙찰가율은 지난달 102.8%로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경기·인천 등 지방의 연립·다세대 주택의 낙찰가율은 70~75%에 머물렀다.

전 대표는 "응찰자들이 아파트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미래가치 상승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라며 “외부적 변수가 많다 보니 경매시장의 패러다임도 차익투자에서 가치투자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불확실성이 심해질수록 투자자들은 매월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자산을 찾는다는 설명이다. 이 같은 행위는 침체된 부동산시장의 거래를 도울 뿐 아니라 임대시장 안정화에도 기여한다.

전 대표는 "IMF 외환위기 당시에도 그랬듯 외부적 충격이 밀려올 때 경매가 이를 보완하는 역할을 해왔다"며 "다만 정부의 오락가락 대책으로 인한 서민들의 피해는 최소화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매 역시 아는 만큼 돈을 벌수 있고 손실을 줄일 수 있다"며 "다만 법적 절차와 함께 진행되기 때문에 자칫 서류 하나만 잘못 써도 큰 손해를 보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경우 전문가와 함께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