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민철 기자]한국이 아세안으로 ‘중국리스크’를 낮추고 시장다변화를 꾀하는 ‘신남방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업 경쟁력 확보가 우선시 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0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신승관)이 발표한 ‘일본을 통해 본 차이나 리스크 대응 전략과 시사점’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일본도 한국처럼 수출·투자에 있어 중국 의존도가 높았으나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 이후 미국, 유럽, 아세안 등으로 시장다변화에 성공했으며 지역별로 접근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미국, 유럽을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 인수·합병(M&A)을 통한 기술경쟁력 확보처로 활용하고 △아세안은 중국 대체 생산기지이자 성장세의 차세대 소비시장으로 인식해 공적개발원조(ODA), 다자·양자간 FTA, 지방정부까지 활용해 일본 기업의 현지 진출을 지원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과도한 의존은 낮추면서도 일본의 기술경쟁력과 현지 수요에 맞는 제품·서비스를 개발해 중국 시장 내 일본의 입지를 일정 수준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센카쿠 열도 분쟁이 심화된 직후 일본의 대중 투자는 32.5% 감소한 반면 미국·유럽 등 선진국, 아세안으로의 투자는 각각 36.7%, 121.3% 증가했으며 현재까지 견조한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이은미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아세안 내 투자처를 다양화하고 4차 산업혁명 대비한 기술력 확보를 위해 미국·유럽과 협력, 현지 수요 맞춤형 서비스·제품 개발로 중국 시장 내 입지도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