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이세정 기자] 신규 저비용항공사(LCC)인 에어로케이(K)와 플라이양양의 항공운송사업자 면허권 취득이 좀처럼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연내 신규 LCC 면허 발급 여부에 대해 결론을 내놓겠다는 입장이지만, 시장 진입을 노리는 신규 업체와 이를 막으려는 기존 업체간의 신경전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2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이날 신규 LCC 면허 발급을 위해 비공개 간담회를 개최했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달 27일 국적항공사 관계자와 신규 LCC 업체 실무진 등을 한 자리에 불러 면허 승인 여부에 대한 1차 간담회를 열었다.

하지만 기존 업체와 신규 업체간의 갈등골만 깊어졌을 뿐, 토론회는 별다른 소득 없이 끝났다.

두 번째 간담회 역시 비공개로 진행된 만큼 세부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명쾌한 결론은 도출하지 못할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추측이다.

당초 에어로케이와 플라이양양의 운송사업 허가권 발급 여부는 지난달 중순께 판가름 날 예정이었다.

하지만 국토부는 사업계획 타당성과 국내·외 LCC 시장 상황, 과당 경쟁 여부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신규 LCC 업체 2곳의 면허 심사를 재연기했다.

지난 6월 신청했던 면허 발급에 대한 심사가 이미 한 차례 미뤄졌던 만큼, 에어로케이와 플라이양양은 9월께 결과가 나올 것이라 내심 기대하던 상황이었다.

기존 항공업계는 국토부가 신규 면허 발급을 반려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미 국내 항공 시장은 포화됐고 과도한 경쟁 구도를 그리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현재 국내 LCC 업체는 제주항공과 진에어,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에어부산, 에어서울 등 총 6곳이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각각 7개의 LCC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미 국내 시장은 포화 상태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

LCC 설립 붐이 일었던 과거 '제살깍기식' 경쟁을 펼친 업체 대부분이 역사 속으로 사라진 전례가 있다는 점도 신규 업체의 출범을 반대하는 이유다.

2000년대 중반 한성항공(現 티웨이 항공)과 코스타항공, 영남에어, 이스트아시아에어라인, 인천타이거항공, 중부항공 등 10여개 넘는 업체들이 LCC 시장에 뛰어들었지만 무한경쟁 속에서 자금난을 겪다 결국 문을 닫았다.

이와 함께 조종사 등 인력난 심화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중국 항공사들이 숙련된 국내 조종사들을 기존 연봉의 2~3배를 제시하며 빼가고 있지만, 국내 항공사들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매년 신규 항공기를 도입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신생 업체까지 등장할 경우 인력난 악화는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항공업계 한 관계자는 "신규 LCC의 출범은 업계 혼란을 야기시킬 것"이라며 "이미 LCC 시장에서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만큼, 신규 면허 발급은 공멸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신규 업체들은 이미 현행법상 신규 면허 발급 기준(자본금 150억원 이상, 항공기 3대 이상 확보)을 모두 충족시켰고, 항공운송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양양국제공항을 모기지로 하는 플라이양양은 올 상반기 기준 자본금 185억원과 항공기 3대를 내년 2월까지 순차적으로 도입하는 임차계약을 맺은 상태다. 신세계그룹의 면세점계열사 신세계디에프와 토니모리 등에서 투자를 받았다.

또 2020년까지 자본금 855억원(납입자본금 185억원, 투자확약 320억원, 투자의향 350억원)을 확보하고 2021년까지 항공기를 10대로 순차 도입할 예정이다.

청주국제공항을 모기지로 운항을 준비 중인 에어로K는 한화그룹과 에이티넘 파트너스, 생활가전 대표업체 부방으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자본금은 약 450억원이고 에어버스 A320 신형 비행기 8대의 주문 계약을 체결했다.

특히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항공여객 수요는 전년 대비 12% 증가한 1억명을 돌파했다. 국내 항공여객은 2012년 6930만명에서 2013년 7334만명, 2014년 8143만명, 2015년 8941만명 등 꾸준히 늘고있다.

또 여객 성장세는 내·외국인 해외여행 수요 증가, 항공사의 운항노선 확대 등에 힘입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신규 업체의 출범을 긍정적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기존 업체들은 반려를, 신규 업체들은 허가를 주장하고 있다"면서 "공정한 심사 결과를 내놓아야 하는 국토부의 고심은 나날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