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1차 부품 협력사 생산라인 모습.

[이뉴스투데이 이상헌 기자] 대기업보다 1차협력사 이하의 업체들이 동반성장 문화를 저해하고 있어 있다는 지적아 제기됐다.

전경련 산하 중소기업협력센터는 20일 '동반성장 활성화를 위한 1차 협력사의 역할'이라는 보고서를 발간하고, 우리나라 동반성장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정책적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협력센터는 대기업의 노력으로 1차 협력사와의 공정거래 및 상생협력은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으나 1차 이하 협력사로 내려가면 그 성과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라고 평가했다.

납품대금 지급의 경우, 30대 그룹의 현금결제 비율은 81.7%, 현금성 결제비율은 16.9%로 현금과 현금성 결제비율이 98.6%에 달한다. 

반면, 1차 이하 협력사 간 현금결제 비율은 60.1%, 현금성 결제는 11.2%로 현금 및 현금성 결제비율이 71.3%에 불과했으며 어음결제는 28.5%에 달했다. 

이처럼 1차협력사가 대기업에 비해 현금 및 현금성 결제비율이 27.3%포인트 낮은 것은 어음결제 비율이 높은 데 따른 것이다.   

대금의 신속한 지급 정도를 나타내는 대금지급 일수의 경우, 대기업은 12.1일로 한 달에 2회 이상 결제를 실시하고 있는 반면, 1차 이하 협력사에서는 현금의 경우 33.9일, 어음의 경우 37.9일로 나타나 대기업 대금지급 일수(12.1일)에 비해 약 3배 정도 늦게 지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최근 3년간 하도급법 상습위반 업체도 대부분 중견·중소기업으로 나타나고 있어 아직까지 중소기업간 공정거래가 미진함을 의미한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실시한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에 대한 체감도 조사'에 따르면 2차 이하 협력사의 경우 25% 만이 동반성장 문화가 '개선됐다'고 응답해 1차 협력사의 절반에 불과한 실정이다.

협력센터는 동반성장 현황에 대해 대기업의 협력사 지원액이 매년 증가하는 등 대기업과 1차 협력사와의 동반성장 활동은 활성화되고 있으나, 2·3차 협력사까지 동반성장 문화의 확산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라고 평가했다.

또 동반성장 정책 강화로 최대 수혜를 받고 있는 1차 협력사가 하위 협력사에 지원을 확대해야 동반성장이 뿌리를 내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정부가 올해 마련 예정인 '제4차 동반성장 기본계획'에서 주요 정책 대상을 대기업에서 1차 협력사로 전환하고 이를 위한 평가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으로 일정 수준에 이른 대기업은 평가에서 제외하고, 1차 이하 협력사를 평가 대상으로 편입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이다.

더불어, 1차 협력사와 2차 협력사간 공정거래협약 체결을 유도하여 1차 이하 협력사간 거래에 있어 표준하도급계약서 사용, 현금성 결제비율 확대, 납품기일 준수 등 공정거래 문화를 확립해야 함을 강조했다.

배명한 협력센터장은 "대기업과 1차 협력사 간 동반성장과 공정거래는 양호한 편"이라며 "이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동반성장에서 중견-중소, 중소-중소기업간 동반성장으로 확산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