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인 변전소에 설치된 주파수 조정용 에너지저장장치

[이뉴스투데이 이상헌 기자]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맞물려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 진출하려는 민간 사업자들이 우후죽순 등장하면서 출혈 경쟁의 우려가 일고 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소규모 사업자의 참여를 통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20%로 대폭 확대키로 하는 5개년 계획을 발표하면서 ESS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ESS란 생산된 전기를 저장장치(배터리 등)에 저장했다 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해 전력사용 효율을 도모하는 설비다. 이 장치를 이용하면 각종 발전기로 생산한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다시 꺼내 쓸 수 있다.

에너지업계 한 관계자는 "ESS가 지금까지 저장이 불가능하다는 전력의 한계를 극복한 만큼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는 부문이다"으로 "정부가 소규모 사업자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공급에만 초점을 두면 산업 전체의 경쟁력이 오히려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국내 기업들이 너도나도 ESS 시장에 뛰어드는 건 그만큼 성장세가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현재 세계 선두를 달리고 있는 기업은 LG화학이며 이어 삼성SDI가 지난해 세계 시장 점유율 19%를 기록하며 뒤를 잇고 잇다. 

산업부 통계에 따르면 세계 ESS 시장 규모는 지난해 25억6000만달러에서 2020년 150억달러, 2025년 292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이 같은 수치는 해외 시장의 상황이며 국내에서의 ESS시장은 정부가 발주하는 이상으로 성장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ESS업체 한 관계자는 "국내 ESS 시장은 지난 2015년 한국전력이 주파수조정(FR)용 ESS 구축사업을 진행하면서 이제 막 시작된 초보 단계다"며 "앞으로도 발주가 나올 예정이지만 경험이 부족한 신규업체들이 사업을 성공시키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ESS가 배터리와 PCS를 적당히 조립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운영에 관한 기술력까지 갖춰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는 이어 "발주처에서 설계를 하고, 기업들은 이에 맞게 기기만 공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일정 단계의 사업이 완료되면 일감이 끊어질 뿐만 아니라, 수출은커녕 최저가 입찰을 위한 국내업체들 간의 출혈 경쟁이 벌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