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이호영 기자] 올해 4월 이후 사라진 듯하던 AI가 초여름 재발, 이달 2일 고병원성 H5N8형 바이러스 확진 직후 5일부터 정부는 전통시장이나 가든형 식당을 대상으로 '산 닭' 거래를 전면 금지 조치했다.

국내 AI 상재화 우려 속 현재 정부 AI 방역은 살아 있는 가금류 유통을 내달 5일까지 연장 금지한 상태다. 

진원지가 재래시장 오일장에서 오골계를 구입한 제주 제주시 농가, 전북 군산 오골계 농가로 추정되면서다. 

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갈 것이 있다. 바로 '생닭'이라는 용어 사용에 대한 것이다. 

이달 5일 전통시장에서는 일제히 '산 닭' 거래가 금지되면서 닭장이 텅텅 비었다. 동시에 전통시장내 사고 팔던 익히지 않은 '생닭' 매출도 급감했다. 

기존 판매 상황을 고려하지 않거나 불분명한 용어 사용은 농가 등 생산자, 관련 업계뿐만 아니라 소비 접점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번이 그런 경우다.   

'생닭'의 사전적 정의를 보자면 '살아 있는 닭'과 '잡아서 익히지 않은 닭'이라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생닭' 거래 금지가 '산 닭' 거래뿐만 아니라 어느 순간 '익히지 않은 생닭' 구입마저 기피하도록 만들어버렸다. 

정부가 이달 초 '거래 금지'한 대상은 첫번째 의미의 '생닭'이었지만 전통시장이나 대형마트 등에서 기존 통용 중인 '생닭'은 두번째 의미다. 통상 마트에서는 도축 처리한 냉장 닭을 '생닭'이라고 부르고 있다. 

살아 있는 오골계와 재래닭을 거래하며 확산된 이번 AI에 대응, 거래 금지에 돌입하면서 소비 접점에서는 용어의 두 가지 의미가 혼재된 상황이 됐다. 

대형마트보다도 특히 살아 있는 닭 거래와 잡아 익히지 않은 닭 거래, 이 두 가지가 공존하는 전통시장은 소비자들이 평소 익히지 않은 생닭과 산 닭을 혼동하며 생닭까지 매출 감소를 경험해야 했다.  

이같은 AI 사태가 발생하면 통상 시행하는 행사가 있다. 바로 지자체 등 범정부 차원에서 그리고 민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는 닭고기 소비촉진 행사다. 이번에도 예외없이 소비촉진을 위한 '삼계탕 시식행사'가 잇따르고 있다. 

오골계, 재래닭 위주로 피해가 국한돼 있긴 하지만 양계농가는 이번에도 '닭고기 등에 대한 소비 위축'을 우려했고 실제 '생닭' 수요 감소에 직면하고 있다.

더군다나 닭고기 대목이라고 볼 수 있는 초복을 앞둔 시점에서 터진 AI였기에 그 타격은 더 컸다. 

소비촉진 행사 전에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고민과 실천은 부족했다. '생닭'이 마트나 시장에서 '잡아 익히지 않은 닭'으로 사용 중인 용어라는 점을 감안해 정부 등 정책 시행자나 정보 전달자나 이번 AI에 대처하면서 조금 더 신중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원형을 복원한 재래닭과 그 닭을 사고 팔던 전통시장. 한켠에선 그동안 지키기 위해 애써온 것들이다. 재래닭과 전통시장은 이번 AI 직격타를 입었다. 부주의한 용어 사용이 그같은 충격을 더 키웠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