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재천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전무

[이뉴스투데이 이근하 기자] “국내 신약개발과 관련한 수많은 정책의 기반을 마련했다.”

여재천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KDRA) 전무가 조합의 역할을 묻는 질문에 이와 같이 답했다.

KDRA는 1986년 과학기술부가 산업기술연구조합육성특별법을 바탕으로 설립한 R&D(연구개발) 대표단체다. 얼핏 단순 조합이나 제약회사 모임에 불과한 단체로 비춰질 수 있으나 범부처적 국가단체라는 게 여재천 전무의 설명이다.

여 전무는 “제약사를 비롯해 바이오기업, 스타트업 등 180개 조합원사가 모여 업계 목소리를 반영한 기획을 정부에 전달하는 단체”라며 “신약 연구개발에 대해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지원자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KDRA가 상위 제약사 외에 신약개발에 몰두하는 벤처나 스타트업에게도 열린 소통의 창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아울러 KDRA가 제약산업 내 관련 주체들의 공조, 일명 오픈이노베이션에 주목하고 있음을 짐작케 한다.

실제로 KDRA는 오픈이노베이션 장인 ‘인터비즈 바이오 파트너링 포럼’을 2002년부터 운영해오고 있다. 매년 400여명의 국내외 전문가가 이 포럼에 참가해 유망기술 이전, 공동연구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한다.

여 전무는 “주로 글로벌 신약에 대한 개념을 상위 제약사가 이끌어 가고 있으나 바이오의약품 비중이 커지면서 스타트업이나 벤처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상생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함으로써 신약 연구개발 생산성을 극대화 하려 한다”고 말했다.

조합은 또 고용노동부로부터 위탁받아 제약기업을 대상으로 1년에 10개의 인력 양성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해외 마케팅·R&D 인허가·신약개발·전략 수립 등에 대한 전문 인력을 교육한다.

그의 설명을 종합하면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은 신약 연구개발의 민간컨트롤타워로 정의 내려질 수 있는 셈이다.

여 전무는 정부 역할의 중요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혁신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정부의 구체적인 지원이 전제돼야 한다고 힘 줘 말했다.

그 가운데 임상에 필요한 예산이 지원돼야 한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여 전무는 “현재 국내 글로벌 신약개발 기업들은 막바지 임상자금 투자여건이 매우 열악하다”며 “ICH 신약허가 기준에 맞는 글로벌 혁신 물질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더불어 복지부와 식약처, 관계부처의 협력을 기반으로 신약개발 지원 관련법과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일본은 약사법을 개정했고 미국과 유럽은 혁신신약 개발촉진 지원프로그램을 정비하지 않았느냐”며 우리나라 역시 관련 법률에 글로벌 의약품 시대의 흐름을 반영해야 할 것을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국산 신약개발 수준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지 물었다.

여 전무는 “전체적인 인프라를 봐야하는 것”이라며 “일례로 한미약품이 특정 제품을 수출하는 것도 주목할 점이지만, 그 회사 스스로 생산부터 글로벌 진출까지 꾸려나가는 과정을 높게 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