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이상헌 기자] 최근 글로벌 교역량 증가에 따라 수출 회복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됐다. 하지만 중소기업 현장에서는 올해 수출이 예상만큼 확대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2일 최근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166개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견기업 2017년 수출 전망·환경' 조사에 따르면 중견기업의 세 곳 가운데 한 곳이 지난해와 비교해 수출이 감소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한·미 FTA 재협상 가능성, 사드 배치 관련 중국 제제 강화, 미국과 중국의 통상 분쟁 현실화 등 대외 요인을 비롯한 대선 이후 급격한 경제 정책 변화 등에 대한 불안감이 더해진 결과로 풀이된다. 

이번 설문에는 제조업 분야 139개, 출판, 통신, 정보서비스업 등 비제조업 분야 27개 기업이 참가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소재 기업이 각각 47.6%와 52.4% 비율을 차지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우선 보호무역주의와 관련,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7.6%의 중견기업이 미국과 중국의 통상 분쟁을 기업 환경 악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특히 미국에 진출한 85개의 중견기업 중 46개 사가 미·중 통상분쟁을 부정적인 요인이라고 응답했으며, 중국에서 활동 중인 중견기업 112개 사는 부정·매우부정이 61.6%에 달했다.  

이와 관련 중견련 관계자는 "중국 진출 중견기업의 이 같은 인식은 지난해 7월 시작된 사드 배치 논란 이후 중국 롯데마트, 이마트 영업정지 사태 등으로 중국의 경제 제재를 체감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례적으로 미국 수출 중견기업 가운데 양국 간 통상 분쟁의 영향을 긍정적으로 전망한 기업이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체 품목 간 시장 점유율 확대 등 미국의 중국 기업 제재로 발생할 수 있는 반사이익을 기대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내외 경제 환경 악화와 함께 주요 대선 주자들의 정책 공약이 기업 규제와 복지성 지원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김규태 중견련 전무는 "대선후보들의 공약을 보면 수출 환경 개선을 위한 통상 전략은 전적으로 누락된 상황"이라며 "R&D 투자 확대 등을 통해 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와 적극적인 외교, 통상 교섭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해외 판로 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매출액 기준으로는 1000억 미만 기업이 44개(26.5%), 3000억 이상 1조 미만 기업이 41개(24.7%), 1000억 이상 3000억 미만 기업이 71개(42.8%) 참가했다. 

키워드
#N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