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김희일 기자] 소비성향 위축으로 지난해 국내 저축률이 17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국민계정 잠정'에 따르면 작년 총저축률은 35.8%다. 전년대비 0.2% 포인트 오른 것이다. 외환위기 여파가 작용한 1999년(35.9%) 이후 1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총 저축률은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 주체들이 쓰는 소득 중 안 쓰고 남은 돈의 비율이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GNDI)에서 최종소비지출을 뺀 값(총저축액)을 GNDI로 나눠 산출한다. 1988년 41.7%를 고점을 찍은 후 내리막 길이다. 2000년 이후 30% 초반대에 머물렀으나 최근 오름세를 보인다.

저축률 상승은 소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밑돌았다는 뜻이다. 지난해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전년 대비 4.5% 늘어난 반면 최종소비지출은 이보다 낮은 4.1% 증가했다.

한국은행 정규일 경제통계국장은 "소비지출 비중이 199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다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줄며 총 저축률이 늘었다"고 말했다.

경제 주체별론 가계와 기업을 더한 민간총저축률은 28.0%, 정부총저축률은 7.8%로 잠정 집계됐다.

가계의 총저축률은 8.3%로 전년과 유사했으며 기업은 19.7%로 0.5%포인트 하락했다. 정부총저축률은 2011년(8.0%) 이후 5년 만에 가장 높았다.

문제는 민간 소득이 좀처럼 늘지 않는데 있다. 살림살이가 팍팍하니 소비나 투자를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지난해 정부의 총 처분 가능소득은 376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9.5% 늘어난 반면 가계는 929조6000억원, 기업은 326조2000억원으로 각각 4.0%와 0.5% 증가하는데 그쳤다.

전체 총처분가능 소득에서 정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22.0%에서 2016년 23.1%로 확대됐다. 가계 비중은 57.2%에서 56.9%로 줄었다. 기업 비중도 20.8%에서 20.0%로 축소됐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637조4000억원으로 2015년보다 4.7% 늘었다"며 "최종소비지출은 이보다 낮은 4.1% 증가해 아직 경기가 살아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키워드
#N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