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김희일 기자] 국내 대형은행들이 지난해에 일제히 시장의 예상을 뒤엎고 '깜짝 실적'을 거뒀다. 

기업 구조조정과 저금리 기조 등 악재 속에서 얻어낸 성과라 이익의 질이 그다지 좋지 않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KEB하나·우리은행은 지난해 최근 4~5년 사이 가장 좋은 당기순이익을 거뒀다.

신한은행은 전년대비 30.2% 급증한 1조9403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했으며 KEB하나은행은 1조3872억원, 우리은행도 2012년 이후 최고 실적인 1조1350억원의 순익을 냈다.

실적발표를 앞둔 KB금융지주 역시 은행계열사의 수익 방어로 5년 만에 순이익 2조원 대에 재진입할 전망이다.

이같은 은행권의 호실적은 은행들이 영업을 잘해서가 아닌 부동산시장 호황 탓이다. 주택담보대출 중심의 가계대출 급증으로 저금리 속에서도 일종의 박리다매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권 가계대출은 10.8% 늘었다.

안정적 수익 구조를 위해선 주로 예대마진(예금·대출 금리 차)을 뜻하는 순이자마진(NIM)을 높여야 한다. 하지만 은행권은 대출 자산을 늘려 수익을 얻었다.

금융권일각에선 가계 빚에 기대 얻은 호황이 자칫 경기 변동에 따른 부실화 위험으로 이어져 장기적으로는 이같은 호황이 지속되기 힘들다고 본다. 당장 올해 금리가 인상되고 부동산 시장이 둔화되는 정책이 나오면 이와 맞물려 가계부채가 예전처럼 급속히 늘어날 가능성도 크다는 것이다.

은행들은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 목표치를 지난해 절반 수준인 6%대로 제시해 이자이익 증가폭이 줄어들 전망이다.

이같은 위기는 빈약한 수익구조와 맞물려 있다. 은행들이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전통적 비즈니스모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국내 은행들은 영업이익에서 이자이익이 차지하는 비중만 80%가 넘는다. 신한은행은 이자이익 기여도가 82%였으며 우리은행은 85%에 달한다. 미국과 일본, 유럽 등 선진국은 비이자이익 비중이 30%를 넘는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권의 깜짝 실적은 가계 빚 증가와 맞물리는데 대출 자산은 결국 나중에 부실화할 가능성이 커 안정적이지 않다"며 "은행들은 고객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개발해 비이자수익 비중을 늘리는 등 수익 기반 다변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키워드
#N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