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김희일 기자] 우리나라가 8일 호주와의 통화스와프 규모 2배 확대에 나서는 등 제3국들과의 통화스와프 체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급격하게 커지고 있는 금융시장 불확실성에 대비키 위해서다.

8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이날 호주와 맺던 통화스와프 만기를 3년 연장(2017년2월8일~2020년2월7일)하고 규모도 50억 호주달러에서 100억 호주달러로 2배 확대했다. 지난달 말레이시아와 통화스와프를 3년 연장한데 이은 올 들어 두 번 째 계약 체결이다.

통화스와프는 외환 보유액이 부족한 상황을 대비해 특정 국가와 통화 교환을 약속하는 협정이다. 경제 위기 등 자금 유출시를 대비한 '외환 안전망' 성격이다.

정부와 한은이 올들어 적극적으로 다른 나라와의 통화스와프의 연장에 나선데는 최근 한일 통화스와프 협상 중단 등 주요국과의 금융 협력이 예전 같지 않은 탓이다.

정부가 일본과 진행하던 통화스와프 논의는 양국간 외교 관계 악화로 지난달 중단됐다. 한미 통화스와프의 경우 2010년 계약 만료 후 재협상을 시작도 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중국과 맺고 있는 통화스와프는 오는 10월 만기가 다가오지만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문제로 양국간 경제 관계가 악화되면서 연장을 낙관키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글로벌 금융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개입으로 달러화가 약세로 보이지만 미국의 금리인상이 본격화될 경우 달러 강세가 되면서 신흥국 시장에서 자금이 유출될 우려가 크다.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경향 강화, 미‧중 대립 등 글로벌 정치·경제 환경이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점도 금융 시장의 불안 요인이 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중국(3600억 위안, 약 60조2000억원), 말레이시아(150억 링깃, 약 3조9000억원), 호주 (100억 호주달러, 약 8조7000억원), 인도네시아(115조 루피아, 약 9조9000억원), 아랍에미리트(200억 디르함, 약 6조2000억원), 치앙마이이니셔티브(384억 달러, 약 43조90000억) 등과 통화스와프를 맺고 있다.

이들 가운데 중국과의 통화스와프 비중은 전체의 절반에 달하고, 달러 스와프는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 협정이 유일하다. CMIM는 다자 협정이라 통화스와프의 실효성이 양자협정에 비해서 떨어진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와 한은이 호주와의 통화스와프 확대에 나선 것은 금융 안정망 다변화 면에서 의미가 있다.

호주는 세계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가장 높은 AAA의 국가신용등급을 받고 있고, 호주달러가 국제금융시장에서 주요 국제통화의 하나로 거래되고 있어 통화스와프 확대의 득이 크다는 평가다. 이전엔 한-호주 통화스와프를 무역결제자금으로만 활용할 수 있었지만 이번엔 금융안정을 위한 인출도 가능해 실효성이 훨씬 높아졌다.

정부와 한은은 지난해 10월 계약 기간이 끝난 한·아랍에미리트 통화스와프와 오는 3월 만기가 도래하는 한·인도네시아 통화스와프 연장에도 나설 방침이다. 오는 10월 만기가 되는 한·중 통화스와프도 연장을 위한 협의에 나설 예정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한·중 통화스와프는 아직 만기가 많이 남아있어 3~4개월 전부터 협상을 시작하는 방향으로 추진 하겠다"며 "경제적 문제와 정치·외교적 문제를 분리해 생각해야 한다는게 우리측 입장이다“고 말했다.

키워드
#N

※ 여러분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소비자 고발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메일 : webmaster@enewstoday.co.kr

카카오톡 : @이뉴스투데이

저작권자 © 이뉴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